16일은 세월호 참사 3주기였다. 진도 팽목항과 서울 광화문 등지에서 추모행사가 열리고 안산의 정부합동분향소와 인천의 일반인희생자추모관 등에도 유가족과 일반인의 추모 발길이 이어졌다. 소중한 생명을 지켜주지 못했다는 자책감에 추모객들의 눈에 다시 눈물이 맺혔다고 한다. 차가운 바닷속에서 속절없이 숨져간 희생자들을 생각하면 지금도 가슴이 미어진다. 시간이 흐를수록 그리움과 슬픔이 사무친 유가족의 아픔이야 말할 것도 없다. 이들을 위로하고 고통을 함께 나누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아울러 유사한 참사의 재발을 막고, 안전한 사회의 기반을 다져야만 한다는 다짐도 새롭다. 참사의 진상을 분명하게 밝혀내고, 관련자들의 책임을 엄중하게 묻자는 사회적 요구도 그 때문이다.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은 사고 직후부터 나온 요구였지만, 3년이 지나도록 제대로 실현되지 못했다. 그 과정에서 무엇보다 실망스러운 것은 정부의 태도다. 정부는 자료 제출과 증인 조사 불응 등으로 세월호특별조사위원회의 활동을 방해했고, 진상규명이 끝나지 않았는데도 위원회 활동을 사실상 강제 종료시켰다. 다행히 얼마 전 세월호선체조사위원회가 발족한 데다 바닷속에 가라앉았던 세월호 인양에 성공했으니 이제야말로 제대로 참사의 모든 진상이 밝혀지기를 기대한다. 이를 위해 현 정부는 물론이고, 5월9일 대선 이후 구성될 새 정부도 위원회의 요구에 성실하게 대응해야 한다.
진상이 밝혀지면 관련 책임자에게는 반드시 엄중한 처벌이 내려져야 한다. 참사로 304명이 목숨을 잃었는데도 현장에 출동한 경비정 경정 한 사람만 구조 소홀 책임을 지고 사법 처리된 결과에 의문을 느끼지 않을 국민이 없다. 박근혜 전 대통령을 비롯해 고위 인사 누구 하나 법적 책임을 지지 않으려는 것은 부끄럽고도 한심한 일이다. 철저한 진상규명과 관련책임자 처벌로, 공무원의 직무 태만이 도의적 문제에 그치지 않음을 확인해야 한다.
더욱 커다란 문제는 참사 직후 일었던 안전사회에 대한 국민적 열망이 어느새 식어가고 있는 현실이다. 잇따른 관광버스 참사나 건설현장 붕괴 사고나 지하철 참사 등은 경제만능주의에 취해 안전을 뒤로 돌리는 의식과 행태가 근절되지 않았음을 일깨웠다. 물질보다 인간, 경제적 이익보다안전을 앞세우는 의식과 시스템 변화에 더욱 국민적 역량을 모아야 한다. 대선에 나선 각 정당 후보들도 생명이 무엇보다 존중 받는 안전사회를 위한 정책 구상을 앞다퉈 내놓고 국민의 평가를 받을 수 있어야 함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