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대 대통령선거가 15일 후보등록과 함께 시작돼 17일부터 공식선거운동에 들어간다. 5월9일 새 대통령은 선출과 동시에 곧바로 임기를 시작한다. 지난해 말 박근혜ㆍ최순실 게이트로 촉발된 촛불ㆍ탄핵 정국을 거쳐 올 3월 헌재의 대통령 파면 결정과 조기 대선까지의 오랜 국정공백기를 끝내고 과거 청산과 미래 준비의 과제를 안은 새 정부 출범이 카운트다운에 들어간 셈이다. 양강 체제를 굳힌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이들을 뒤쫓는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와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 정의당 심상정 후보 등 5파전이 어떻게 전개될지 흥미롭다.
권력을 사유화해 국정농단과 헌정유린을 일삼은 대통령을 파면하고 사법 심판대에 올린 후 치러지는 이번 대선의 성격과 의미는 유례 없이 크고 무겁다. 주요 후보의 정책 역량과 소통ㆍ통합 의지, 도덕성과 품성 등의 검증이 어느 때보다 넓고 깊게 이뤄져야 한다는 얘기다. 검증은 일차적으로 전문가그룹이나 언론의 검토를 거쳐야 하지만, 유권자의 판단을 돕는 데는 TV토론이 가장 효율적이란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앞으로 선거운동 과정에서 네거티브 공세나 포퓰리즘 공약이 더욱 기승을 부릴 것으로 예상되는 것도 TV토론의 실효성을 높여야 하는 이유다.
문제는 형식과 내용이다. 그제 실시된 첫 TV토론은 맞대결 등 다양한 방식을 도입해 나름대로 눈길을 끌었다. 하지만 후보 다섯 명이 두 시간 남짓한 시간을 나눠 쓰는 방식은 유권자의 궁금증과 갈증을 해소할 수 없음 또한 명백해졌다. 시간을 5~6시간으로 대폭 늘리거나 토론참여자를 2~3명으로 제한하자는 대안이 거론되지만, 집중도 저하나 형평성 문제가 있어 어느 것도 선택이 쉽지 않다. KBS가 의석수ㆍ지지율 등의 잣대로 19일로 예정된 토론 참여자를 제한하려다 정의당의 반발에 물러선 게 한 예다.
그래도 우리는 관행이나 기계적 형평성을 잣대로 TV토론 문제에 접근하는 데 반대한다. 이번 대선에 나선 후보의 역량과 자격에 대한 국민의 요구 수준이 '비상하게' 높은 만큼 토론 틀과 형식에도 파격이 불가피하다. 주최측이 미국처럼 '여론조사 지지율 15% 이상'을 기준으로 '문ㆍ안 양자토론'을 추진하는 것은 한 방법이다. 중앙선관위가 스탠딩 토론이나 시간총량제 자유토론을 도입한 것은 잘한 일이다. 하지만 문ㆍ안 양강 구도가 갈수록 견고해지는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일부 부작용이 있더라도, 국민의 가려운 곳을 긁어주고 궁금증을 풀어주기 위한 용단을 내릴 때가 됐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