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상의, 피해사례 조사…”12개 업체 피해 발생”
관광객 감소로 면세점 등 유통업계 피해 가장 커
화장품, 생활용품, 수산물 소비재 기업 직접 영향
# 1 어포류 등 건어물을 중국에 수출하는 부산의 수산물제조업체 A사는 통상 한달 정도 걸리던 수출물량 통관이 최근 3개월 넘게 걸리자 애를 먹고 있다. 지난해 11월 수출한 물량이 지난달 말에야 겨우 통관될 정도로 수출이 지연되고 있기 때문이다. 사드 문제가 대두된 이후 중국 측이 통관과정에서 엉뚱한 서류를 요구하는가 하면 통관지연 사유도 알려주지 않고 있다.
# 2 샴푸, 토닉 등 생활용품 제조업체로 중소기업진흥공단이 운영하는 해외판매장(아임스타티스)을 활용, 중국현지에서 1년 넘게 제품을 팔아온 B사는 중국시장 철수를 준비 중이다. 최근 사드문제가 불거지면서 중소기업진흥공단으로부터 북경 롯데백화점에 입점해 있는 ‘아임스타티스’를 3월 말까지 철수할 예정이라는 통보를 받았기 때문이다. B사는 물류비용이 적잖아 중국에 쌓아둔 제품을 현지에서 헐값에 처분해야 할 상황이다.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부산지역 기업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 화장품, 생활용품, 수산물 등 소비재를 생산ㆍ수출하는 업종은 직격탄을 맞고 있고, 중국 관광객 감소로 면세점을 포함한 유통업계 피해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
부산상의(회장 조성제)는 28일 지역 제조업, 대중국 수출입업, 유통업, 호텔업 등 총 212개 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사드 피해 사례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조사결과 이미 피해가 발생한 기업은 12개 업체며, 많은 기업들이 중국의 반한감정 고조에 따른 2차 피해를 우려했다.
피해 유형으로는 ▦통관지연 및 거부 ▦비자발급 지연 및 거부 ▦납품대금 미회수 ▦중국시장 진출 연기 및 철수 ▦판매부진 우려 등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제조업은 자동차 부품, 기계류 등 중간재를 생산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수출제재는 없었지만, 화장품과 생활용품, 수산물 등 소비재 업체는 경영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제조 C사는 한국화장품브랜드 최초로 중국 드라마제작에 참여해 PPL협찬 투자를 했지만, 중국의 반한 감정에 따라 제품 노출이 적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투자효과 상실을 걱정하고 있다.
중국 조선사와 거래중인 조선기자재업의 D사는 최근 중국 측이 납품대금 지급기한을 넘겨 지급하는 경우가 잦아졌고, 현재까지 미회수 대금도 약 1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업은 중국 정부가 자국민 한국단체관광을 금지한 이후 중국발 크루즈선의 부산 기항이 무더기 취소되면서 내방객 감소에 따른 판매부진을 크게 우려하고 있다.
중국관광객이 전체 매출의 45%를 차지하고 있는 E면세점은 한국관광 중단이 장기화 될 경우 전체 매출의 30∼40% 감소를 전망했고, 타 면세점에 비해 크루즈 관광객 비중이 낮은 F면세점도 전체 매출의 20% 감소를 우려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기업들은 현재 상황 극복을 위해 ▦정부 간 협의 채널을 통한 보호무역장벽 해소 ▦판로확대를 위한 대체시장 발굴 지원 ▦경영안정자금 지원확대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상의 관계자는 “가장 큰 문제는 지역기업 차원의 마땅한 대응방안이 없다는 것”이라면서 “정부가 조속한 시일 내 정부 간 협의채널을 만들어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목상균 기자 sgmok@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