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차 30분 당겨 점검시간 확보
안전 인력 556명 대폭 늘리고
일부구간 2인승무제 시범도입
2, 3호선 노후전동차도 교체
서울지하철이 오전 1시까지인 막차 시간을 30분 앞당기고 일부 지하철에서 1인 승무제를 2인 승무제로 시범 확대한다. 정시 운행보다는 안전 운행에 방점을 찍겠다는 의미다.
서울시는 8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서울지하철 안전보강대책’을 발표했다. 우선 시는2002년부터 평일 기준 오전 1시까지 운행해온 심야 연장운행시간을 30분 앞당긴다. 앞으로 시는 이 시간을 시설점검 등에 활용해 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한다는 방침이다.
또 올해 안에 안전관리 인력을 대폭 확대한다. 278개 역사마다 2명씩 안전관리인력을 둬 총 556명의 직원이 지하철 안전을 관리하고 지하철보안관 50명을 확충한다. 또 이달 중 승강장안전문 기술인력 175명을 추가 채용하고 통합지하철공사 출범에 따른 중복업무 인력 393명도 현장부서로 전환배치 한다. 서비스 중심으로 운영됐던 역무실과 고객상담실은 ‘안전센터’로 개편돼 안전관리부서 업무를 맡는다.
또 기관사와 지원인력 104명을 추가로 확보해 7호선 일부 구간에서 2인 승무제를 1년간 시범 실시한다. 현재 5~9호선은 1인 승무로 운행되고 있다. 단 행정자치부가 기관사 추가 확보를 위한 총액인건비 증액을 허용하지 않으면 기관사 처우개선으로 해결할 방침이다. 행자부와 협의는 3월 예정이며 서울시 자체적으로 5월까지 비교조사를 완료할 계획이다.
또 차량이 고장 났을 때 관제보고보다 승객안내방송을 먼저 하도록 하고, 단전 시에도 승객 안내를 할 수 있도록 2020년까지 무정전 방송장치를 2,942량에 확대 도입한다. 사고 발생 시 출입문을 모두 열어 대피를 유도하고, 전동차에서 연기가 났을 때에도 화재발생 상황과 동일하게 대처하도록 한다. 이에 따른 전동차 운행 지연에 대해서는 기관사에게 책임을 묻지 않을 방침이다.
사물인터넷 기술 등을 활용한 ‘스마트안전지하철’ 시스템도 구축한다. 지능형 폐쇄회로(CC)TV, 객차혼잡도 안내, 부정승차 자동단속 등의 역할을 하게 된다. 양 지하철공사 통합 후 안전컨트롤타워 기능인 ‘스마트통합관제시스템’도 4월에 기본설계에 들어가 2023년까지 구축할 예정이다.
또 21년 이상 사용한 2,3호선 노후전동차 610량을 2022년까지 신규 차량으로 교체한다. 2014년 상왕십리역 추돌사고의 원인으로 지목된 자동열차운전장치(ATO) 시스템이 갖춰지지 않은 1,3,4호선 구형 전동차에는 일단 무선주파수(RF) 방식 제어시스템을 도입한다. 노후 전차선로, 신호설비 등 노후시설도 2030년까지 개량하고 120개 노후역사 리모델링도 계속한다.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 등도 정밀안전주기를 20년에서 15년으로 단축한다. 내진보강이 필요한 53.2㎞ 구간은 2020년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시는 중앙정부에 국비지원을 요청하는 방식으로 안전시설과 인력확충에 필요한 예산(7조8,000억원)을 마련할 방침이다. 시는 지난해 무임수송으로 인한 손실이 13조원에 달한 만큼 앞으로 무임수송 손실분은 중앙정부가 지원하도록 법제화를 건의하고, 지방 도시철도 운영기관과 함께 헌법소원도 낸다. 또 노후시설 재투자를 위한 공사채도 발행할 수 있도록 행자부에 발행 기준 개선을 요청하기로 했다.
윤준병 서울시 도시교통본부장은 “안전중심으로 패러다임을 바꾸려면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제도와 인식개선도 필요하다”며 “공기업 평가 기준에서 정시성보다 안전에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중앙정부와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주희 기자 jxp938@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