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3차례 인상시 하반기쯤 역전 가능성… 현실화땐 역대 3번째
글로벌 머니무브 격화로 국내 외인 투자금 ‘썰물’ 우려
경기ㆍ가계부채 부담에 금리인상 어려운 한은 딜레마
이주열 총재, “우리 경제 영향, 심층 분석해야”
미국의 이달 기준금리 인상이 사실상 기정사실화되면서 요즘 시장에선 “미국이 올해 최대 4차례 금리를 올릴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지지부진한 경기와 막대한 가계부채 부담으로 쉽사리 금리인상에 나서기 어려운 국내 상황을 감안하면, 자칫 올 하반기쯤엔 미국과 한국의 기준금리 수준이 역전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태다. 이에 정책당국도 “(3월 미국 금리 인상이)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을 줄지 심층적으로 분석해야 한다”며 바짝 긴장하고 있다.
6일 한국은행과 금융권 등에 따르면, 당장 미국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가 오는 15일(현지시간)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면 한미간 기준금리 차이는 0.25~0.5%포인트(현재 미국 연 0.5~0.75%, 한국 1.25%)로 바짝 좁혀지게 된다. 미국 기준금리의 중간점(현재 0.625%)을 기준으로 보면, 미국이 올해 금리를 3차례만 올려도(0.625→1.375%) 한국을 추월하게 되는 셈이다. “미국이 올린다고 우리도 당장 따라 올려야 하는 건 아니다”(이주열 한은 총재) “한은이 내년 상반기까지 금리를 동결할 전망”(미래에셋대우) 같은 시장 안팎의 분위기를 감안하면 이르면 하반기, 늦어도 연말쯤엔 양국 기준금리가 역전될 가능성이 적지 않은 셈이다.
예상보다 빠른 미국의 금리인상은 한국을 비롯한 글로벌 금융시장에 대규모 자금이동(머니 무브)을 촉발할 수 있다. 특히 미국보다 높은 금리수준을 보고 국내에 들어왔던 외국인의 주식ㆍ채권 투자금(2월말 기준 약 595조원)도 언제든 빠져나갈 수 있다. 여기에 달러 강세로 원화가치까지 하락하면 이탈 흐름은 더욱 거세진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과거 한미 기준금리가 역전됐던 1999년 5~9월 사이 연속 5개월간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 순매도가 이어졌고, 2005년 역전 때도 매도 행렬이 지속됐다. 최근 ‘3월 인상설’이 퍼지면서 이달 들어 원화가치가 27.3원 급락한 것도 이 같은 불안감을 반영한 측면이 크다. 지난달 연 1.6%대였던 국고채 금리(3년물)도 이달 들어 1.7%대로 상승(채권가치 하락)했다.
다만 시장에선 넉넉한 외환보유액과 경상흑자 추세 등으로 자본유출은 제한적일 거란 전망도 적지 않다. 김지나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과 한국에 투자되는 외인 자금은 선진국과 신흥국으로 각각 성격이 다르다”며 “설사 금리가 역전되어도 자산배분 차원에서 외인 자금은 꾸준히 유입될 걸로 본다”고 말했다. ▦과거에도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자본유출은 단기에 그쳤고 ▦유럽, 일본 등은 여전히 돈풀기를 유지하고 있어 글로벌 투자금이 급감할 가능성도 적다 등의 반론도 나온다.
하지만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불확실성과 1,300조원대 가계부채 부담 등 위험요소를 감안하면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가속화는 분명 우리 경제에 큰 악재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이날 임원회의에서 “미국 금리인상 속도가 예상보다 빨라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우리경제에 어떤 영향을 줄지 심층적으로 분석해 대응방안을 구체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천구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원은 “미국이 금리인상 속도를 높이면 약간의 시차를 두더라도 결국 우리도 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다”며 “가계부채와 내수침체 등으로 한은의 통화정책 여력이 크지 않다는 게 문제”라고 우려했다.
강지원 기자 stylo@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