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운 계절이면 창고에서 (모형 기차의)기관차를 만든다. 종종 기관차를 타고 내 정원을 돌아본다. 숲 속을 지나갈 때면 행복을 느낀다. 그저 그 뿐이다.” 일본에 그렇게나 많다는 철덕(鐵德ㆍ기차 마니아) 중 하나다. 원래는 공학박사로 국립나고야대 조교수였는데 서른 후반쯤에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집필동기에 ‘문학적 야심’ 따윈 단 0.1%도 없다. 행복한 ‘철덕질’을 하려니 조교수 수입만으론 부족해서다. 강렬한 인정욕구, 그로 인한 애정결핍이 없으면 자유를 얻는다.
‘작가의 수지’는 그 결과물이다. 저자 모리 히로시는 이공계 출신답게 수학적 트릭 같은걸 작품 속에 잘 녹여넣어 ‘이공계 미스터리’ 작가라 불린다. ‘철덕질’을 위해 소설가가 됐고 그게 아니라면 소설 같은 건 안 쓰고 싶다고 하는 사람이니 “소설은 거의 읽지 않는다” “그나마 읽는 것도 번역본” “소설 이외의 책, 가령 논픽션이라면 거의 다 읽는다”고 당당히 밝힌다. 좀 고상한 말로 ‘문단의 동종교배’에서 자유롭다, 라고 ‘우리 식 해석’을 가져다 붙이면서 ‘너희들도 분위기는 비슷한가 보네’라며 읽을 곳은 이외에도 여럿이다.
자유로운 히로시는 그래서, 이 책에서 1996년 데뷔 이후 20여 년간에 걸친 자신의 수지를, 그러니까 지출과 수입 내역을 상세히 설명한다. “시간당 최대 6,000자를 키보드로 두드릴 수 있다”는 사실을 기반으로 신문연재, 장편소설 등의 경우 시간당 수입이 얼마인지 계산했다. 10% 안팎에서 결정되는 인세, 그림책ㆍ만화ㆍ드라마 제작 등 2차 저작물에 따른 수익 구조도 설명해뒀다. 이 수익에는 ‘모든 것이 F가 된다’를 비롯, 대표작 10권이 한스미디어를 통해 지난 연말 한국에 소개된 것도 포함되리라.
그래서 1996년 데뷔 이후 책으로만 번 돈은 15억엔이다. 우리 돈으로 단순 환산하면 153억원 정도. 강연료 등 부가수입까지 합치면 200억원대. 그러니 연봉 10억원이다. 헉! 놀랄 필요는 없다. 허물어졌다 하나 아직 일본 독서시장은 탄탄하다. TVㆍ영화 등 2차 판권 시장도 엄청나게 발달해있다. 동시에 히로시의 작업은 ‘깊은 문학적 감수성과 비의적 수사로 열린 결말을 지향’하는 게 아니라 “머릿 속 영상을 글로 옮기는”, 그래서 다시 영상으로 만들기에도 좋은 쪽이다.
일본에서도 이 책이 나왔을 때 작가들 사이에서 논란이 됐었다는 이유를 알만하다. 또 논란이 뻔히 보이는데도, 히로시가 책 서두에서 이 책은 ‘자랑’이 아니라 ‘보고’일 뿐이라 거듭 강조하면서 써낸 이유도 짐작할 만하다.
히로시의 결론은 이거다. “소설가라는 직업은 유망하다고는 말하지 못해도 의외로 장래성이 있는 분야다. 이는 오로지 인건비가 들지 않아 불황에 강하다는 점, 자본과 설비가 필요 없다는 점, 그리고 비교적 단시간에 제품을 만들 수 있다는 등의 유리한 조건 때문이다.” 요즘 말로 ‘웃프다’. 물론 한마디 더 붙여뒀다. “하지만 그 유리한 조건 때문에 지망자도 많다.” 이 세계에서 살아남는 방법은 이거다. “자신의 감을 믿을 것. 늘 자유로울 것.” 글쟁이들이여, 파이팅.
조태성 기자 amorfati@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