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애니칼럼] 극단적 채식주의자가 감자와 브로컬리를 안 먹는 이유

알림

[애니칼럼] 극단적 채식주의자가 감자와 브로컬리를 안 먹는 이유

입력
2016.12.21 14:00
0 0
건강이나 종교적 이유 외에 윤리적인 동기로 채식을 실천하는 사람들도 있다.
건강이나 종교적 이유 외에 윤리적인 동기로 채식을 실천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동안 칼럼을 통해 채식주의자를 동기에 따라 분류해 보았다. 입맛에 따른 채식주의자, 건강을 이유로 한 채식주의자, 종교적 이유의 채식주의자 등이다. 그리고 아직 살펴보지 않았지만 윤리적 동기의 채식주의자도 있다. 윤리적 동기의 채식주의자를 본격적으로 살펴보기 전에 채식주의자를 다른 방식으로 분류해 보자. 그것은 채식을 실천하는 범위에 따른 분류이다. 다시 말해 어느 정도까지 채식을 실천하느냐는 차원에서 채식주의자를 나누는 것이다.

채식주의자를 영어로 ‘베지테리언’이라고 한다. 그런데 ‘비건’이라는 말도 많이 알려져 있다. 같은 이름의 채식주의 잡지도 우리나라에서 발행된다. 비건은 채식주의자 중에서도 동물성 단백질을 전혀 먹지 않는 채식주의자를 말한다. 아니, 채식주의자가 고기를 먹지 않는 사람을 말하는데 그러면 동물성 단백질을 먹는 채식주의자가 있다는 말인가?

일반적으로 채식주의자는 고기를 먹지 않는 사람을 말하는데, 우유나 달걀 등 동물의 부산물을 먹는 사람도 채식주의자로 분류한다. 윤리적 동기의 채식주의자가 고기를 먹지 않는 이유는 동물에게 죽음의 고통을 주어야만 동물의 고기를 먹을 수 있기 때문인데, 우유나 달걀은 자연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나오는 것이므로 먹어도 문제가 안 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나 비건은 우리가 우유나 달걀을 먹지 않는다면 그것은 그 동물을 위해서 쓰였을 것이므로 먹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현대 목축업에서 우유나 달걀은 ‘자연스럽게’ 생산되지도 않는다. 젖소나 닭이 자연 상태에서 생산하는 양보다 훨씬 많은 양의 우유나 달걀을 인위적으로 생산하게 하기 때문에 동물에게 겪지 않아도 되는 고통을 주는 것이다.

비건은 우리말로 ‘완전 채식주의자’나 ‘엄격한 채식주의자’ 정도로 부를 수 있겠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이들은 꿀도 먹지 않는다. 채식주의자는 동물의 털 옷이나 가죽 제품을 입지 않는데, 이들은 실크 제품도 입지 않는다. 비건은 우유나 달걀이 들어간 빵도 먹지 않는다. 우리나라에서도 우유나 달걀이 들어가지 않은 빵을 파는 비건 빵집이 조금씩 생기고 있다.

완전 채식주의자를 뜻하는 비건은 우유나 달걀도 먹지 않는다. 게티이미지뱅크
완전 채식주의자를 뜻하는 비건은 우유나 달걀도 먹지 않는다. 게티이미지뱅크

그런데 이 비건보다 더 엄격한 채식주의자도 있다. 채식주의자는 식물성 음식만을 먹을 텐데 그 식물성 음식 중에서도 또 선택해서 먹는 이들이 있다. 이들은 식물의 열매나 씨앗이나 뿌리는 또 다른 식물을 자라게 하는 데 쓰이므로 먹지 않고 잎사귀만 먹는다. 자연스럽게 땅에 떨어진 열매는 먹기도 한다. 한 번 이야기한 적이 있는 자이나교도들도 여기에 해당한다. 자이나교도들은 수확 과정에서 벌레를 죽일 가능성이 높은 감자나 양파 같은 뿌리 음식이나 벌레가 들어 있을 가능성이 높은 브로콜리도 먹지 않는다고 한다. 이런 극단적인 채식주의자가 되는 동기는 대체로 윤리적인 이유인데(자이나교의 교리도 일종의 윤리이다) 합리적이거나 보편적인 윤리라고 보기는 어렵다. 동물의 고기를 먹지 않는 것은 동물에게 고통을 주기 때문인데, 열매를 딴다고 해서 식물에게 고통을 준다고 말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동물이든 사람이든 열매를 먹고 그 씨앗을 널리 퍼뜨려 주는 것이 그 식물의 진화에 이득이 된다고 본다.

수확 과정에서 벌레를 죽일 가능성이 높다고 해서 뿌리 음식을 먹지 않는다는 것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게 된다. 벌레가 고통을 느낀다고 한다면 우리가 걷고 집을 짓고 하는 모든 행동에서 의도치 않게 벌레에 위해를 가하는 것이다. 그러나 벌레에 위해를 주지 않기 위해 걷거나 집짓기를 포기할 수는 없다. 자이나교도들은 벌레를 밟지 않으려고 걸으면서 빗질을 하고 벌레를 삼키지 않으려고 마스크를 하고 다닌다지만 보통 사람들에게 이런 식의 삶을 강요할 수는 없지 않은가? 우리가 할 수 없는 것을 의무로 삼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

다시 어디까지 먹느냐에 따라 채식주의자를 분류해보자. 우유와 달걀은 먹는 채식주의자는 락토-오보 채식주의자라고 한다. 락토 채식주의자는 달걀은 먹지 않고 우유는 먹는 채식주의자를 일컫는다. 거꾸로 달걀은 먹고 우유는 먹지 않는 채식주의자는 오보 채식주의자라고 부른다.

‘실천범위에 따른 채식주의자의 분류’는 다음 칼럼에도 이어집니다.

최훈 강원대학교 교수, 철학, ‘철학자의 식탁에서 고기가 사라진 이유’ 저자

▶ 지난 칼럼 ‘불교 신자들은 왜 채식을 안 할까’ 보기

동그람이 페이스북 바로가기

동그람이 카카오채널 바로가기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