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이나 이자비용 등을 빼고 실제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소득인 처분가능소득이 2008년 외환위기 이후 최저치로 떨어질 전망이다. 시중은행의 대출금리 인상이 가시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가계의 소득감소 압박은 더욱 강해질 것으로 우려된다.
28일 통계청의 전국 2인 이상 가구 처분가능소득 증감률을 보면 올해 1/4분기와 2/4분기 각 1%, 3/4분기 0.7%를 기록했다. 처분가능소득은 성과급, 상여금이 집중되는 1분기에 가장 많고 연말로 갈수록 줄어드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올해 처분가능소득이 2009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할 것이 확실시 된다.
연도별 가처분 소득 증감률을 보면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0.7%에서 2010년~2012년 5.4%~6.4%로 증가했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2013년 1.9%로 떨어진 이후 2014년 3.5%, 지난해 1.9%로 점차 증가율이 둔화됐다. 올해 들어서는 분기 평균치가 줄곧 1% 이하 수준으로 떨어졌다.
처분가능 소득은 세금이나 연금, 이자비용 등 지출을 제외한 것으로 실제 가계가 사용할 수 있는 소득이다. 가계의 체감도가 높은 지표로 소비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 처분가능 소득이 줄어든 원인은 일자리 위기에 있다. 전반적인 고용여건이 좋지 않은데다 안정적 일자리를 제공했던 제조업의 구조조정이 소득감소로 이어졌다. 아르바이트나 일용직의 증가로 일자리의 질과 소득이 낮아지고 있는 사정도 반영됐다.
가계부채 규모가 늘어나고 있는 중에 금리인상 압박까지 겹쳐 앞으로 가계의 소비여력은 더욱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처분가능 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액 비중은 지난해 24.3%로 급증했다. 2012년 17.1%에서 3년만에 7.2%p 증가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고용면에서 구조조정이 진행되면서 일용직이나 아르바이트 근로자가 늘어 소득이 감소한 영향이 크고 인구구조적으로는 빠른 고령화 진행으로 은퇴인구가 늘어나 소득이 급격이 감소한 것이 처분가능소득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진주 기자 pearlkim72@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