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세 갈래’ 신경전
탈당파 “탄핵 속도ㆍ탈당 합류”
머뭇거리는 당내 비주류 압박에
친박 주류, 비박 입장 수용 거론
비상시국위도 분당에 반대 입장
비대위 수습 로드맵 나오면
지도부 사퇴 앞당겨질 가능성
비대위원장, 김황식 유력 거론
내일(29일)의총 친박 참여 여부 주목
당 지도부 즉각 사퇴를 놓고 비박계 비주류와 극한 갈등을 벌였던 새누리당 친박계 주류 진영에 당 해체만큼은 막아야 한다는 막판 변화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집단 탈당 가능성이 점차 높아지자 ‘12월 21일 지도부 사퇴, 내년 1월 21일 전당대회’ 카드를 접고 조기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를 받아들여 친박 강성파만 당에 남아 고립되는 최악의 상황은 막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비주류 진영도 탈당이나 분당보다는 비대위 구성에 무게를 두면서 초읽기에 들어갔던 분당 사태는 일단 주춤해진 형국이다.
일요일인 27일 여권은 탈당파, 비박 비주류(비상시국위원회), 친박 주류가 세 갈래로 나뉘어 제각각 움직였다. 탈당파가 “탄핵 추진ㆍ당 해체”, 비상시국위원회가 “탄핵안 통과에 집중하겠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한 데 그친 것과 달리, 친박 주류는 ‘선 비대위 구성ㆍ후 탄핵 논의’로 입장을 다소 선회하는 모습을 보였다. 전권을 부여 받은 강력한 비대위원장이 수습 로드맵을 제시하면 당 지도부의 사퇴 시한도 앞당길 수 있다는 점까지 거론하면서 한 발 물러선 것이다.
주류(원유철 정우택 홍문종)ㆍ비주류(김재경 나경원 정병국) 측 중진 의원이 3명씩 모인 6인 협의체의 한 친박계 중진 의원은 이날 본보 통화에서 “범보수가 분열되면 안 된다”며 “내일(28일) 6인 협의체에서 교집합이 될 수 있는 분을 비대위원장으로 모실 것”이라고 밝혔다. 이 의원은 이어 “마음을 다 내려놓고 당이 쪼개지는 것을 막을 것”이라며 “주류ㆍ비주류의 이해관계를 떠나 국민 눈높이에 맞춰 환골탈태해 혁신·통합하는 리더십을 모시겠다”고 덧붙였다. 비상시국위원회도 이날 오후 대표단ㆍ실무단 연석회의와 전체회의를 거쳐 “탈당이나 분당을 논할 때가 아니다”라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간사 격인 황영철 의원은 브리핑에서 “6인 협의체에서도 합의된 비대위원장 추천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의총, 당협위원장 연석회의 총회 형태로 선출하는 방안도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주류ㆍ비주류 모두 사태 수습의 접점을 ‘비대위 체제’에서 찾은 것이다.
만약 친박과 비박이 비대위 체제에 전격 합의할 경우 김황식 전 국무총리가 비대위를 이끌 가능성이 가장 큰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친박계는 김 전 총리, 조순형ㆍ손학규 전 의원, 인명진 목사 등을, 비박계는 김 전 총리와 함께 강창희ㆍ김형오 전 국회의장 등을 거론해 왔다. 양측 모두 추천한 인사는 현재로선 김 전 총리가 유일하다.
하지만 비대위로 가자는 양대 계파의 공감대에도 탈당과 분당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지난 21일 비주류 의원들이 당 중앙윤리위원회에 제출한 박 대통령 징계안 심사가 미뤄지고, 탄핵소추안 발의도 야당이 마지노선으로 정한 내달 9일을 넘길 경우 탈당파가 늘 수 있다는 관측이 무성하다. 이진곤 당 윤리위원장은 이날 본보 통화에서 “특수 신분의 대통령을 징계하는 고도의 정치적 사건을 윤리위가 다룰 수 있는 사안인지부터 위원들에게 들어보겠지만 당장 결론에 도달하기는 어렵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윤리위 회의는 28일 제3의 장소에서 비공개로 열릴 예정이다. 윤리위가 경고, 당원권 정지, 탈당 권유, 제명 등을 결정하더라도 친박계로만 채워진 최고위원회가 이를 뒤집을 수도 있다는 점도 한계로 꼽힌다.
또 이날 남경필 경기지사, 김용태 의원, 김동성 김상민 김정권 박준선 이성권 정두언 정문헌 정태근 전 의원 등 새누리당 탈당파 10명은 국회에 모여 당 소속 의원들에게 “새누리당 해체”를 요구하며 탈당에 동참하라고 촉구했다. 비상시국위원회도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의 책임에서 자유롭지 않은 부역자들과 당의 비민주적 퇴행을 이끈 인사들의 인적쇄신을 거론해 또 다른 갈등도 예고된 상황이다. 황 의원은 구체적인 이름을 밝히진 않았지만 “3인, 5인, 10인으로 거론되는 인적쇄신 명단을 필요하다면 공개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주류·비주류 소통 창구인 6인 협의체가 비대위 구성에 합의하지 못하고, 29일 예정된 의총에서도 친박계가 재차 보이콧을 결행한다면 분당 사태가 가시권에 들어갈 것이란 분석이다.
서상현 기자 lssh@hankookilbo.com
김청환 기자 chk@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