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LNG선박 건조 후발주자
정부, 보유 세제지원 등 인센티브
“경제성 낮아 실효성 의문” 지적
정부가 액화천연가스(LNG)를 연료로 운행되는 ‘LNG 추진선박’을 미래 조선·해양산업의 새 캐시카우(수익창출원)로 삼기로 했다. 해양 운송 분야에서도 배출가스 규제가 강화되면서, 친환경 연료 LNG를 사용하는 상선이 급증할 것이란 예측에서다. 해운·조선·항만 등 구조조정 탓에 활력이 떨어지고 있는 산업에 새로운 활력소가 될 것이라는 게 정부의 바람이지만, 경제성 문제 등 앞에 놓인 장애물이 만만치 않아 보인다.
해양수산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16일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제18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2020년부터 강화되는 국제적인 환경규제에 대비하기 위한 'LNG 추진선박 연관산업 육성 방안'을 보고했다. 이는 지난달 31일 발표한 ‘조선·해운업 경쟁력 강화방안’의 후속조치다.
육상에서 자동차가 그렇듯, 조선ㆍ항만 업계도 바다에서 배출가스를 줄이는 데 안간힘을 쓰고 있다. 현재 국제 운항 선박은 국제해사기구(IMO) 협약에 따라 황산화물(SOx) 함유 비율이 3.5% 이하인 선박유를 사용해야 하는데, 2020년부터는 선박유의 황산화물 함유 기준이 0.5% 이하로 7배나 강화된다. 이 장벽을 친환경 연료를 쓰는 LNG 추진선으로 뚫겠다는 게 정부의 복안이다. 이미 작년 말 현재 유럽 등에 LNG추진선 63척이 도입됐고, 현재 건조 계획 중인 것만 75척에 달한다. 2025년까지 LNG 추진선 건조·개조 관련 시장 규모가 150조원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그럼에도 조선강국인 한국은 높은 선가(船價)와 부족한 인프라 탓에 LNG 추진선에 있어서는 후발주자다. 국내 LNG 추진선은 인천항만공사 소유 소형선 1척에 불과하다.
정부는 이 시장을 육성·선점하기 위해 항만시설 사용료 감면, 세제 지원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기로 했다. 또 초기에 민간 발주가 어려운 점을 감안해 공공 부문에서 시범 도입하는 것을 검토 중이다. 항만 내 LNG급유(벙커링) 기반 확충을 위해 중장기적으로 주요 항만에 벙커링 전용 인프라도 구축할 계획이다.
특히 정부는 이를 조선ㆍ해운업의 위기를 돌파할 타개책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LNG 추진선 기술경쟁력 강화는 조선업의 고부가가치로 이어질 것”이라며 “LNG 급유 서비스를 통해 연간 4억5,000만달러에 이르는 새 시장도 창출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정부가 지나치게 장밋빛 전망에만 매달려 있다는 지적도 만만찮다. 정영석 해양대 교수는 “환경규제 등에 대비해 이 같은 준비가 필요한 것은 맞지만 구체적인 실천 방안이 부족한데다 LNG 가격이 기존 연료보다 비싸 경제성 떨어지는 등 실효성이 있을 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LNG 가격이 일반 유가보다 비싼 상황에서, 정부가 제시한 인센티브 만으로는 기업들이 LNG 추진선 사업에 뛰어들기는 어렵다는 얘기다. 업계 관계자는 “아무런 환경 개선없이 LNG 추진선으로 해운·조선업 위기를 돌파하겠다는 건 너무 안일한 발상”이라며 “가스공사가 장악하고 있는 LNG가격을 시장에 맡기거나 아예 선박연료용 LNG를 따로 보급하는 등의 대책이 병행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김진주 기자 pearlkim72@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