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도 0.3m 아리랑 7호 개발 추진
정부, 3100억 투자… 2021년 발사
지상의 30㎝ 간격 물체까지 식별할 수 있는 세계 최고 수준의 해상도를 갖는 인공위성이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6일 해상도가 0.3m 이하인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7호’를 설계부터 조립ㆍ시험ㆍ검증까지 모두 독자적으로 진행해 2021년 하반기 발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위성 개발에는 총 3,100억원이 투자된다. 미래부 관계자는 “다목적실용위성 7호는 지난해 3월 러시아 야스니 발사장에서 우주로 올라간 3A호보다 지상 물체를 식별하는 판독 능력이 3.4배로 향상된다”고 설명했다.
다목적 3A호 광학카메라의 해상도는 0.55m다. 가로 세로 55㎝의 지역을 점 하나로 인식해 영상을 만들어 낸다는 의미다. 이 정도 해상도의 위성 영상으로는 특정 물체가 차량인지 아닌지를 구분하는 정도에 그친다. 그러나 해상도가 0.3m로 향상되면 영상 속 차량이 일반 승용차인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지 구별해 낼 수 있다. 이상곤 항우연 다목적실용위성 7호 사업단장은 “프랑스와 독일의 기술 지원을 받아 만든 다목적 3호(해상도 0.7m)의 카메라 성능을 독자 기술로 향상시켜 3A호를 제작한 데 이어 이런 경험을 토대로 위성 전체를 모두 국산화하겠다는 게 바로 다목적 7호”라고 말했다.
다목적 7호는 위성 운용에 필수인 자세제어 기술과 영상처리 속도도 3A호보다 크게 향상된다. 특정 지역을 촬영할 때 3A호는 자세를 3번 변경할 수 있는 데 비해 7호는 최대 9번까지 가능하다. 또 영상을 찍은 뒤 잡신호를 제거하는 등 1차 보정 작업을 마치는 데까지 3A호는 15분이 걸리지만, 7호는 10분 이내다.
해상도가 0.3m 이하인 상용 위성을 보유한 나라는 미국이 유일하다. 미국은 이미 해상도 0.25m급 위성 개발에도 착수했다. 일본 역시 유사한 해상도의 자국 위성을 개발 중이다. 유럽연합(EU)은 0.3m급 위성을 2017년 발사할 예정이다. 미래부와 항우연은 미국보다는 다소 늦었지만, 일본이나 EU는 충분히 따라잡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목적 3A호까지는 위성 개발의 핵심인 본체 설계와 제작을 항우연이 주관해 왔다. 그러나 이번엔 국내 입체에 맡긴다는 계획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항우연과 산업체 간 공동개발로 국내 우주산업을 활성화해 2020년 이후엔 민간 주도로 위성 개발이 이뤄지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임소형 기자 precare@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