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청년들보다 비수도권 청년들이 겪는 고용 한파가 더욱 매서운 것으로 나타났다. 일자리가 없어 지방 청년들이 수도권으로 떠나면 비수도권의 인구 유출이 심각해질 수 있는 만큼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5일 국회예산정책처와 통계청 등에 따르면 올해 2분기(4∼6월) 15∼29세 청년 고용률은 비수도권에서 39.6%로 수도권(45.3%)보다 5.7%포인트 낮았다.
청년층 고용률은 통상 비수도권이 수도권보다 5%포인트 안팎으로 낮은 상태가 유지되고 있으나 최근 들어 서서히 격차가 더 벌어지는 모양새다. 올해 1분기엔 비수도권 청년층 고용률이 38.7%였으나 수도권은 5.2%포인트 높은 43.9%였고 지난해 4분기에도 비수도권은 39.5%, 수도권은 43.9%로 수도권이 4.4%포인트 높았다. 반면 전체 고용률로 따지면 비수도권과 수도권의 격차는 청년층만큼 크진 않았다. 7월만 해도 전체 고용률의 경우 비수도권이 60.7%로, 수도권 61.7%보다 1%포인트 낮은 데 그쳤다. 비수도권 청년층 고용률이 낮은 것은 수도권보다 지방에서 청년이 할 수 있는 일자리가 적기 때문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올 2분기 서울의 청년 고용률이 45.9%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인천 45.1%, 경기 44.8%로 16개 시도 가운데 청년 고용률 상위 3곳을 모두 수도권이 차지했다. 반면 전북의 청년 고용률이 34.3%로 가장 낮았고 전남 34.7%, 광주 35.0%, 강원 36.0% 순으로 고용률 최하위권을 형성했다. 여기에 최근 일부 지방을 중심으로 청년 실업률까지 오르는 모양새여서 비수도권 청년들이 더욱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2분기 청년 실업률의 경우 대구와 전북이 14.4%, 12.2%로 16개 시도 중 가장 높았다. 특히 대구는 청년 실업률이 전년 동기대비 4.0%포인트, 전북은 7.6%포인트 오르는 등 큰 폭의 상승세를 나타냈다.
지역 내수부진과 주력산업이 위축되고 있는데다 지방에서 일자리를 찾지 못한 청년들은 수도권으로 떠나는 상황에 몰린 것으로 분석된다. 이상호 한국고용정보원 부연구위원에 따르면 2006∼2015년간 지역별 청년층(15∼34세) 인구 이동 현황을 살펴본 결과 경기는 청년 인구가 51만6,000명, 인천은 6만6,000명 늘어 전국 16개 시도 중 1, 2위를 차지했다. 서울도 3,000명 늘었다. 반면 충남(2만명)과 울산(2,000명)을 제외한 나머지 비수도권 지역은 모두 청년층 인구가 유출됐다.
이 부연구위원은 “청년층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 각 지방자치단체가 산업단지를 유치해 제조업 일자리를 늘리는 방향으로 접근하고 있지만, 제조업 비중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예전 방식을 답습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직접적으로 청년 고용률을 높이려다보면 단기적인 성과를 위해 한시적인 일자리만 늘어날 수 있다”며 “교육, 양육, 간병 등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을 육성하고 여성복지, 교육 등 사회시스템 전반을 개선하는 식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남상욱 기자 thoth@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