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이은주-북한 홍은정 셀카, 리우 최고의 정치적 사건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이은주-북한 홍은정 셀카, 리우 최고의 정치적 사건

입력
2016.08.21 18:35
0 0

WP선정… 2위는 히잡 쓴 미국 펜싱

지난 7일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리우 올림픽 경기장에서 열린 여자 기계체조 개인종합 예선에 출전한 이은주가 경기를 마친 뒤 북한 홍은정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리우데자네이루=연합뉴스
지난 7일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리우 올림픽 경기장에서 열린 여자 기계체조 개인종합 예선에 출전한 이은주가 경기를 마친 뒤 북한 홍은정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리우데자네이루=연합뉴스

리우 올림픽 폐막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미국의 워싱턴포스트(WP)가 이번 올림픽에서 정치적으로 의미 있었던 순간 10개를 뽑아 20일 보도했다.

첫 번째로 언급한 건 ‘남북 관계’였다. 북한의 체조선수 홍은정과 한국의 이은주가 함께 셀피(셀프카메라 사진)를 찍은 사실이다. 이은주는 지난 7일(이하 한국시간) 여자 기계체조 예선이 끝나자 홍은정에게 다가가 함께 사진 찍기를 권유했고, 홍은정이 이를 흔쾌히 수락하면서 두 선수의 활짝 웃는 모습이 담긴 사진이 화제가 됐다. 이 신문은 “한반도는 공식적으로 휴전 상태이지만 이 사진은 남북한 사이의 작은 평화를 만들어냈다”며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도 이를 두고 ‘위대한 몸짓(Great gesture)’이라고 치켜세웠다”고 전했다.

두 번째로는 서구와 이슬람 사이의 불신이 깊어지는 상황에서 히잡을 쓰고 경기에 참가해 메달을 딴 미국인 펜싱선수였다. 이브티하즈 무하마드는 역대 올림픽에 출전한 미국인 중 최초로 히잡을 착용한 선수로 이슈가 됐다. 그는 여자 사브르 단체전에서 동메달까지 따냈다. 특히 무하마드는 무슬림 입국 금지 등의 발언으로 논란을 사고 있는 미국 공화당 대선후보인 도널드 트럼프에게 “미국 외에 돌아갈 고향이 없다. 미국에서 태어나 뉴저지에서 자란 나와 내 가족은 도대체 어디로 가야 하나?”라는 말을 남겼다.

레바논과 이스라엘의 ‘버스 소동’도 정치적 사건에 포함됐다. 지난 6일 마라카낭 주경기장으로 가려 했던 이스라엘 선수들이 레바논 선수단이 탑승하고 있던 셔틀버스에 올라타려고 하자 레바논 선수단장이 이들의 승차를 막아선 것. 이에 이스라엘 측은 “적대적 행위”라고 비난했고, 레바논 측이 “작은 충돌이었을 뿐이다. 문제는 이미 해결됐다”고 해명하면서 사건은 일단락됐다.

미국과 러시아는 수영 종목에서 도핑을 두고 날카로운 신경전을 벌여 올림픽에서 신(新)냉전이 초래됐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여자 평영 100m에서 우승한 미국의 릴리 킹은 결승전을 전후로 도핑 전력이 있는 러시아의 율리야 예피모바를 ‘도핑 괴물’에 비유하며 2차례에 걸쳐 독설을 퍼부었고, 이에 예피모바는 “정치가 스포츠에 간섭하는 것 같아 당황스럽다. 냉전이 오래 전에 끝났다고 생각했는데 이번 올림픽에서 부활한 것 같다”고 받아쳤다. 선수들의 설전은 미국 민주당 전국위원회(DNC) 해킹 사건을 두고 양국 간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나온 것이어서‘정치적’으로 해석됐다.

이집트의 유도선수 엘 셰하비는 상대 선수였던 이스라엘의 오르 새슨이 청한 악수를 거부했다가 귀국조치를 당하는 일도 있었다. 그는 지난 13일 치러진 남자 유도 100㎏ 이상급 32강에서 새슨을 맞아 절반 2개를 잇달아 내주고 한판패 하자 새슨이 청하는 악수를 거부하고 그대로 퇴장했다. 이에 심판이 다시 그를 매트로 불러들였으나 셰하비는 고개만 숙이고 다시 퇴장했고, IOC는 그의 행동이 올림픽 정신을 위배했다며 엄중 경고했고, 이집트 올림픽위원회는 그를 귀국 조치했다.

중국과 호주 사이에도 냉기류가 흘렀다. 남자 수영 자유형 400m 금메달리스트인 호주의 맥 호튼은 2위를 차지한 중국의 쑨양을 ‘약물복용자’로 공격해 중국 언론과 누리꾼들이 들고 일어서 사과를 요구했다. 이에 남중국해, 호주기업 인수 등의 문제로 갈등을 빚고 있는 양국 관계가 올림픽에서도 반영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브라질은 혼란스러운 국내 정치 상황 때문에 도마 위에 올랐다. 올림픽 전후로 미셰우 테메르 브라질 대통령 권한대행의 퇴진을 요구하는 시위가 잇따라 일어나자, 브라질올림픽위원회는 올림픽 시설에서 일체의 정치적 시위를 불허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에 테메르를 반대하는 옷을 입거나 팻말을 든 관중들이 잇따라 경기장에서 쫓겨나면서 소셜미디어 등에서는 브라질이 올림픽 정신을 훼손했다는 비판이 쏟아졌다.

올림픽 사상 처음으로 결성된 난민팀은 소속 선수 10명 중 한 명도 입상권에 들지 못했지만 정정당당한 플레이로 전 세계 6,000만 난민들에 대한 관심을 촉구했다.

이밖에 쿠웨이트의 노장 사격선수 페하이드 알디하니가 올림픽 독립 선수자격으로 출전한 것도 10대 사건으로 뽑혔다. 쿠웨이트 올림픽위원회는 지난해 10월 IOC로부터 자격 정지 징계를 받은 바 있다. 그러나 그는 IOC가 쿠웨이트 국기가 아닌 IOC 깃발을 들고 개막식에 입장해 달라는 요청에 “쿠웨이트 군인으로 국기만 들 수 있다”고 거부했다. 그는 11일 사격 남자 더블트랩 결승에서 금메달을 따냈다. 성환희기자 hhsung@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