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8일 활동… 마지막 비대위 주재
“홀가분하게 짐 벗고 일상으로 돌아가
통합으로 거듭날 새누리당 응원하겠다”
4ㆍ13 총선 참패로 위기에 빠진 새누리당을 이끌었던 김희옥 혁신비상대책위원장이 68일간의 활동을 접고 8일 마지막 회의를 주재했다. 최대 현안이었던 탈당파 7인의 복당은 ‘김희옥 비대위’의 최대 성과로 꼽히지만 그 과정에서 김 위원장이 당무를 거부, 스스로 계파의 굴레에 갇히면서 ‘친박 대리인’ 이미지를 얻은 것은 한계로 남는다.
새 지도부를 선출하는 8ㆍ9 전당대회를 하루 앞둔 이날 김 위원장은 “이제 홀가분하게 짐을 벗고 일상으로 돌아가 통합으로 거듭날 새누리당, 대한민국과 함께 전진할 새누리당을 마음으로 응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 외부위원의 평가는 더 비판적이었다. 민세진 위원(동국대 교수)은 “집권 9년차 매너리즘 때문인지 국민의 마음을 읽는데 부족함이 있다는 것을 느꼈다”고 했다. 임윤선 위원(변호사)은 “더 이상 국민이 새누리당이라는 브랜드 하나로 쫓아오는 시기는 지났다”고 쓴소리를 남겼다.
법무부 차관, 헌법재판관, 동국대 총장 등을 역임한 비정치인 출신의 김 위원장은 지난 6월 2일 ‘김용태 혁신위원장안’이 친박계 비토로 무산된 직후 우여곡절 끝에 비대위원장으로 영입됐다. 이후 출범 2주 만에 유승민 의원 등 총선 공천 과정에서 탈당한 7인의 복당 문제를 매듭지었다. 하지만 의결 과정에서 비박계 위원들의 ‘종용성 발언’을 문제 삼아 당무를 거부하고 칩거에 들어간 김 위원장이 친박계 요구사항인 ‘권성동 사무총장의 경질’을 복귀 조건으로 내세우면서 신뢰의 위기를 자초했다는 평이다. 특히 계파를 의식해 총선 참패 원인을 두루뭉술하게 서술한 백서를 발간하고, 최경환ㆍ윤상현 의원, 현기환 청와대 전 정무수석 등 친박계 핵심이 연루된 공천 개입 녹취록 파문 등 민감한 문제를 방관해 ‘관리형 비대위원장’에 그쳤다는 비판도 나왔다.
김 위원장을 비롯해 절반 이상을 정당 경험이 없는 외부위원으로 채운 비대위가 계파 갈등과 분열로 점철된 당내 현실의 벽을 뛰어넘기에는 애초부터 역부족이었다는 게 대체적 평가다. 반면 친인척 보좌진 채용 논란을 계기로 ‘8촌 이내 친인척 보좌진 채용 금지’와 불체포특권 폐지 등 ‘국회의원 특권 내려놓기’ 이슈를 선점, 주도한 것은 성과로 평가된다. 정승임 기자 choni@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