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치를 앓거나 앓은 적 있는 저소득층의 아동·청소년은 고소득층에 비해 충치 치료를 받지 않을 확률이 최대 3.6배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세의대 예방의학과 박은철·김주영 연구팀은 2012~2013년 시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9~19세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건강형평성'(Equity in Health) 최근호에 실렸다.
연구팀은 가정의 소득수준을 연도별 월소득에 따라 3개 그룹으로 구분했다. 저소득층은 2012년 월소득이 147만원 이하, 2013년 150만원 이하, 중간소득층은 2012년 148만~241만원, 2013년 151만~246만원, 고소득층은 242만원 이상, 2013년 247만원 이상이다.
그 결과 조사대상 1,253명의 64.5%인 808명이 영구치에서 치아우식증(충치)이 있었다고 답했다. 또 충치가 발견된 대상자의 72%(582명)는 치료를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충치 발생률은 소득수준과 관계없이 모든 가정에서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지만, 충치치료 여부는 소득수준에 따라 차이가 났다.
영구치에서 충치가 발견된 적이 있지만, 치료를 받지 않은 아동·청소년은 저소득층에서 77.8%로 가장 많았고 중간소득층 72.9%, 고소득층 65.3%로 나타났다.
아동·청소년의 성별, 나이, 거주지역, 스스로 인식하는 치아건강상태, 민간건강보험 가입 여부 등 다른 요인을 보정해 비교했을 때 저소득층과 중간소득층에서 충치치료를 받지 않을 확률이 고소득층보다 2배 이상 많게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특히 최근 1년 안에 치과에서 예방적 차원으로 치아정기검사를 받은 경험이 있다고 답한 경우 이런 차이는 더 크게 벌어졌다.
영구치에서 충치가 발견된 적이 있고 최근 1년 안에 치과에서 검사를 받은 경험이 있는 저소득층 아동·청소년이 충치치료를 받지 않은 비율은 고소득층 자녀보다 3.58배, 중간소득층에서는 고소득층보다 2.26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주영 연구원은 "상대적으로 비급여 대상이 많은 치과진료는 소득수준에 따른 건강불평등이 나타나는 분야 중 하나"라며 "이번 연구결과는 현실적인 문제를 수치로 확인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특히 정기검진을 받고도 충치치료를 하지 않은 저소득층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며 "소득과 관계없이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충치와 같은 질환에 대해서는 치료에 대한 접근이 쉬워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 동안 다양한 소아청소년 충치예방사업이 시행됐음에도 여전히 저소득층의 치과 문턱이 높다는 점이 밝혀진 만큼 정책적인 보완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임소형 기자 precare@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