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우병우 사태 등 대응 무기력
靑 ‘공천 개입’ 의혹 해명도 못해
전대 앞두고 곳곳 계파 소멸 징후
‘박근혜대통령 만들기’로 뭉친 집단
레임덕 위기 오자 이합집산 조짐
소멸한 MB계 전철 밟고 있는 듯
여권의 주류인 친박근혜계가 분화ㆍ해체의 길로 들어서고 있다. 개헌선인 ‘180석’까지 내다봤던 4ㆍ13 총선을 참패로 내몬 원인 제공 세력으로 찍히면서 친박계의 재편과 여권 지형 변화는 어느 정도 예고됐지만, 8ㆍ9 전당대회를 앞두고 실제로 계파 소멸의 징후가 여러 곳에서 포착되고 있다. 여기에다 역대 정권 집권 4년차의 레임덕 조짐도 더해지면서 미래 권력을 향한 이합집산이 가속화할 것이란 관측이다.
여권 관계자들은 차기 대선을 진두지휘할 당 대표 후보군에 친박계 대표 주자를 세우지 못한 것이 계파 분화의 첫 징조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박근혜 정부의 성공적 뒷받침’과 ‘정권재창출’이라는 양대 과제를 입으로 떠들면서도 친박 핵심 실세가 전대 불출마를 선언한 것은 모순이라는 것이다. 당 관계자는 “최경환ㆍ서청원 의원이 전대에 불출마하고 친박계 후보(이주영ㆍ이정현)마저 총선 참패 책임론에 대한 자파(自派) 엄호에 적극적이지 않다”며 “최근 사드 사태와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 논란으로 위기에 내몰린 박 대통령을 비호할 구심점이 없다는 것은 계파 내부의 집산이 가속화할 것이란 신호탄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친박계 핵심인 최경환ㆍ윤상현 의원과 현기환 전 청와대 정무수석의 ‘공천 개입’ 녹취록 파문은 결속력이 약화된 친박계를 향한 외부의 도발이라는 성격이 강하다. 특히 이후 대응 과정을 봐도 친박계가 예전만 못하다는 평가다. 가령 김성회 전 의원에게 공천 지역구를 변경해야 한다면서 거론한 ‘대통령의 뜻’이란 표현에 세 사람 모두 적절한 해명을 내놓지 않고 있다. 원조 친박으로 꼽히는 중진 의원은 “공천 과정에 개입한 것처럼 보이는 박 대통령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선 누군가 책임감 있게 나서야 하는데 아무도 그러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박 대통령 스스로 구심점이 될 인물을 양성하지 않고, 친박계 내부에서도 ‘포스트 박근혜’로 성장한 인물이 없는 것도 급속한 계파 해체 내지 이완을 가져왔다는 평가가 적지 않다. 윤종빈 명지대 교수는 “친박계는 시대정신이나 이념, 정책, 철학의 공유로 뭉친 집단이 아니라 ‘박근혜 대통령 만들기’ 아래 형성된 임시체로 구심점이 사라지면 다음 권력을 향한 이합집산은 불가피한 일”이라며 “MB(이명박)계도 새 정치 세력을 유입ㆍ양성하지 않다가 소멸의 길로 갔는데 친박계도 같은 전철을 밟고 있다”고 지적했다.
5년 단임제 대통령제 하에서 집권 4년 차에는 집권 여당 주류 계파의 이완 현상은 어느 정도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역대 정부를 보면 이 무렵 정권 내부의 비리가 집중적으로 터지면서 대통령의 레임덕이 시작되기 때문이다. ‘저축은행 비리’(이명박ㆍ2011년), ‘바다이야기 실세 연루 의혹’(노무현ㆍ2006년), ‘진승현ㆍ이용호ㆍ윤태식 게이트’(김대중ㆍ2001년), ‘장학로 및 백두비리 사건’(김영삼ㆍ1996년), ‘수서택지 특혜 분양’(노태우ㆍ1991년) 사건이 대표적이다. 이번에도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의 재산 논란 등으로 레임덕 징후가 엿보이자 친박계 분화가 가속화했다는 설명이 가능하다. 이와 함께 친박계 내에서조차 현안마다 목소리를 키우는 일부 강성파에 불만이 크지만 계파 핵심 인사들이 내부적으로 이를 조율하고 관리하는 데 실패하거나 사실상 방기해 계파 분화를 더 앞당기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서상현 기자 lssh@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