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괌 사드 포대 공개
미, 측정 반대하다 막판에 수용
성주와 지형 달라 안전 증거 안돼
韓 국방 “상주서 살 수도 있다”
지역간담회서 오해 해소 총력
한미 양국이 18일 미국령 괌의 앤더슨 공군기지에 배치된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ㆍ사드) 포대를 전격 공개한 것은 사드 레이더의 유해 전자파 논란을 진화하기 위해 띄운 마지막 승부수였다.
‘사상 첫 공개’라는 의미를 부각시켜 우리 측은 사드 배치에 유리한 여론을 조성하고, 미 측도 성의를 다했다는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경북 성주에서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해 사드 배치가 환경에 해를 끼치지 않는다는 객관적 증거를 제시하면 해결되지만, 앞으로 수개월간 미군이 사드 포대 설계도를 먼저 만들어야 환경평가를 할 수 있는 만큼 궁여지책으로 한미 양국이 출구를 모색한 것으로 보인다.
이날 국방부공동취재단이 포대 입구에 들어서자 2대의 발전기에서 뿜어내는 굉음이 귀를 때렸다. 귀마개 없이는 견딜 수 없을 정도였다. 2013년 4월 이후 임시기지로 운영돼 레이더를 가동할 전력망이 아직 갖춰지지 않은 탓이다. 다만 500m 떨어진 발사대로 자리를 옮기자 소음이 거의 없었다.
미군 관계자는 “현재 진행 중인 영구 주둔지 건설 공사가 끝나면 상업용 전기를 끌어 쓰기 때문에 소음문제가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성주포대에서는 상업용 전기를 사용하고, 발전기는 유사시에만 운영할 예정이다.
포대에 배치된 3기의 발사대 가운데 예비용 1기를 제외한 2기가 발전기와 레이더 앞쪽에 역삼각형 형태로 배치돼 있었다. 이 관계자는 “최대 9기의 발사대를 운용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성주포대에 배치할 6기의 발사대도 순차적으로 들여올 가능성이 점쳐지는 부분이다.
미군은 사드 레이더와 1.6㎞ 떨어진 평지에서 6분간 전자파를 측정했다. 성주포대에서 성주읍까지 거리(1.5㎞)를 감안해서다. 정작 궁금한 사드 레이더 출력과 주파수 등 성능에 대한 질문이 빗발쳤지만 미군은 ‘작전 보안’을 이유로 구체적인 설명을 꺼렸다.
대신 미 측은 성주에 배치될 사드가 중국을 겨냥한 게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는데 주력했다. 포대 운영 책임자는 “새로운 위협에 대항하려면 사드를 그쪽으로 다시 돌려야 하는데 그건 쉽지 않은 작업”이라고 말했다. 부대 마크에는 ‘무수단 파괴자’(MUSUDAN MANGLERS)라는 문구가 또렷했다.
이날 평지에서 측정한 전자파 수치는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어느 정도 위력의 전자파가 머리 위로 지나가는지는 알 수 없어 성주 군민들이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을지 미지수다. 더군다나 괌 포대 레이더는 바다로 향해 있는데다 해변까지 2㎞ 남짓한 구간은 민가가 없다. 레이더 1.5㎞ 앞에 인구가 밀집한 성주와는 지형적으로 차이가 크다.
현장에 동행한 로버트 헤드룬드 주한미군 기획참모부장(해병 소장)은 “사드 포대 배치는 지형에 맞춰 다소 다를 수밖에 없다”며 “한국에 배치될 사드 포대는 괌 기지와 다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미 양측은 전자파 측정에 앞서 신경전을 벌이기도 했다. 미군 측이 “절대 허용할 수 없다”고 버티자 우리 측은 한국에서 1억 원 상당의 광대역 전자파측정기를 직접 갖고가 압박했고, 취재가 시작된 18일 오전에서야 합의했다.
한편 한민구 장관은 이날 대구의 육군 제2작전사령부에서 지역언론인 간담회를 갖고 “사전에 충분한 이해를 구하지 못해 송구하다”면서도 “전자파가 문제라면 내가 그곳(성주)에서 살 수도 있다”며 자신감을 보였다. 한 장관은 보상방안에 대해선 “국방부가 선제적으로 무엇을 해주겠다고 말하면 또 다른 오해를 불러 일으킬 수 있다”며 “어떤 지원이 필요한지 지역 언론이 먼저 알려달라”고 공을 넘겼다.
이에 대해 참석자들은 사드 배치 결정 과정에서 정부가 보여준 안일한 자세와 소통 부재를 질타했다.‘성주 사드 배치 저지 투쟁위원회’는 21일 2,000여명의 군민이 서울로 상경해 대규모 사드 반대 집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강신명 경찰청장은 “상경 집회에 불법이 없다면 최대한 보호하고 보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광수 기자 rollings@hankookilbo.com
괌=국방부공동취재단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