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사 땐 4차 핵실험후 최고위급 방문
비핵화 거부 北에 숨통… 주변국 촉각
중국이 다음달 11일 북한과의 ‘우호협력상호원조조약(우호조약)’ 체결 55주년을 맞아 정치국 상무위원을 파견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는 것으로 20일 전해졌다. 상무위원이 방북하면 올해 초 4차 핵실험과 장거리미사일 발사 이후 북한을 찾는 최고위 중국인사가 된다. 이럴 경우 비핵화를 거부하는 북한에 외교적 숨통을 틔워 주는 격이어서, 주변국들은 중국의 선택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정부는 최근 외교경로를 통해 중국이 내달 상무위원 가운데 한 명을 북한에 보낼 예정인 것으로 파악하고,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중국의 최종 방침이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얼마든지 개연성이 있다는 판단이다. 중국 공산당 상무위원은 모두 7명으로 당내 서열 1~7위다. 정부 소식통은 “지난해 10월 열병식 당시 서열 5위인 류윈산 상무위원이 북한을 찾았는데, 이번에도 그와 비슷한 중량감을 갖춘 인사가 방북할 가능성이 적지 않다”며 “8월 한미 연합훈련을 앞두고 중국이 북한을 끌어들여 대화에 나서는 기회로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은 북핵과 관련, 비핵화를 앞세우는 한미일 3국에 맞서, 비핵화와 평화협정의 병행추진을 강조하고 있다. 북한이 ‘핵-경제 병진노선’을 앞세우며 비핵화를 거부하고 있지만, 이달 초 시진핑 국가주석이 방중한 리수용 북한 노동당 중앙위 부위원장과 접견을 허용한 이후 물밑 조율이 활발해진 모양새다. 이날 북한은 6자회담 당사국이 모두 참가하는 중국 주최 북핵 세미나에 3년 만에 대표를 보내 성의를 보였다.
앞서 중국은 5월 초 노동당 대회를 앞두고 고위인사를 파견해 달라는 북한의 요구를 무시했다. 당 대회가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대관식에 불과하다는 판단에서다. 반면 1961년 체결한 북중 우호조약은 한쪽이 침략을 당할 경우 상대방이 군사원조를 제공하는 ‘자동개입’을 명문화한 양국관계의 근간이다. 한미 상호방위조약(1953년 체결)과 성격이 유사하다.
이후 북중은 5년마다 고위급 인사를 서로 교환하며 우의를 과시해왔다. 2011년 당시 북한은 양형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 부위원장을, 중국은 장더장 부총리 겸 정치국 위원을 상대국에 파견했다. 장더장은 방북 이듬해 ‘시진핑 체제’가 출범하면서 정치국 상무위원(서열 3위)에 올랐다.
김광수 기자 rollings@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