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의 정상회담은 우호적인 분위기였다. 같은 날 중국 베이징에서 폐막한 제8차 미중 전략경제대화가 안보ㆍ경제 양면에서 양측의 이견을 드러낸 것과 대조된다. 이를 두고 워싱턴 정가에서는 오바마 대통령이 임기 막바지 외교행보를 통해 일본-베트남-인도를 잇는 포위망을 구성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7일 백악관을 방문한 모디 총리는 오바마 대통령과 온실가스 배출 제한을 위한 파리 기후변화협약의 신속발효를 위해 노력하기로 합의했다. 동시에 양자간 별도의 수소불화탄소 배출제한 규약을 맺기로 했다. 미ㆍ중 외에 최대 온실가스 배출국가인 인도가 협약 비준에 적극적인 태도를 취한다면 파리 협약의 발효도 탄력을 받게 된다.
양국 입장에서 이번 정상회담의 더 큰 성과는 미국과 인도의 안보 부문 협력 강화다. 양국은 미국이 인도를 공식적으로 주요 안보 파트너로 규정하는 데 합의했다. 이를 통해 인도는 미국으로부터 최첨단 무기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중국이 정찰 명문으로 잠수함으로 벵골만까지 진출시키는 등 세력을 인도 반도 방향으로 확장시키면서 중국과 인도 관계가 껄끄러워진 점을 감안하면 미국과 인도는 중국의 팽창을 저지하는 데 공동목표를 둔 것으로 보인다.
인도는 중동에서도 중국과 경쟁하는 미국의 교두보 역할을 맡을 수 있다. 외교전문지 포린 어페어스는 인도가 이란과 서방의 평화협정 이후 이란 남부도시 차바하르에 50억 달러를 투자해 항구 조성을 돕고 160억 달러를 도시 주변 자유무역지대 형성을 위해 투자하기로 한 데 주목했다. 미국의 지지를 받는 인도가 중국-중동-유럽을 잇는 ‘신실크로드’를 구상하는 중국의 잠재적 경쟁상대로 떠오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로서 오바마 대통령은 중국 남쪽 베트남, 동쪽 일본을 방문한 데 이어 서쪽의 인도까지 안보 파트너로 삼아 ‘대중국 포위망’을 그려냈다. 오바마 대통령이 강조해 온 ‘아시아 회귀’ 정책이 그의 임기 막바지 들어 틀거지를 갖춘 셈이다.
이런 가운데 미ㆍ중의 대결 분위기는 더욱 고조되고 있다. 7일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과 양제츠 중국 국무위원이 만난 미중 전략경제대화의 전략분야 회담은 남중국해 문제를 둘러싸고 양측의 입장차만 확인한 회담이 됐다. 케리 장관의 항행의 자유 보장 요구에 양 국무위원은 “남중국해에서의 영토주권과 해양권익을 수호할 것”이라는 주장을 재확인했다.
매년 안보에 비해 늘 협력적이던 경제분야 회담에서도 중국의 철강ㆍ알루미늄 공급과잉 문제를 두고 양측이 공방을 벌였다. 7일 회담을 마친 제이콥 루 미국 재무장관은 “철강 감산에는 합의했지만 알루미늄 과잉에 대해서는 합의를 도출하지 못했고 회담을 이어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회담이 진행되는 동안 동중국해 공해상에서 미국 정찰기와 중국 전투기가 신경전을 벌인 것도 양국의 대치국면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7일 미국 방송 CNN이 인용한 국방부 관리들에 따르면 중국 J-10 전투기가 통상적인 정찰 활동을 하던 미국 RC-135 정찰기와 동일 고도에서 고속으로 비행해 정찰기를 견제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인현우 기자 inhyw@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