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왕태석의 빛으로 쓴 편지] 한국의 피라미드, 산청 ‘전(傳) 구형왕릉’

입력
2016.06.07 17:56
0 0
경남 산청 왕산 자락에 있는 전(傳)구형왕릉은 돌무덤으로 비탈진 산기슭을 따라 일곱 층으로 쌓은 피라미드 형태로 네 번째 층에는 감실(작은 금동불이나 목불을 모시는 집) 모양의 구멍이 나 있다. 왕태석기자 kingwang@hankookilbo.com
경남 산청 왕산 자락에 있는 전(傳)구형왕릉은 돌무덤으로 비탈진 산기슭을 따라 일곱 층으로 쌓은 피라미드 형태로 네 번째 층에는 감실(작은 금동불이나 목불을 모시는 집) 모양의 구멍이 나 있다. 왕태석기자 kingwang@hankookilbo.com

신라 명장 김유신 장군의 증조할아버지 구형왕(仇衡王)은 가락국 금관가야의 마지막 왕이다. 그는 신라의 계속된 침입으로 백성들이 고통을 받자 서기 532년 신라 법흥왕에게 나라를 넘긴 후, 지금의 경남 산청 왕산(王山) 자락에 터를 잡고 은둔의 여생을 보냈다.

김씨 성을 받아 신라 진골 귀족에 편입된 비운의 왕은 죽기 직전 “나라를 지키지 못했으니 내 무덤을 흙이 아닌 돌로 쓰라”는 한 많은 유언을 남겼다고 한다. 그 유언에 따라 만들어진 돌무덤은 비탈진 산기슭을 따라 일곱 층으로 쌓은 피라미드 형태로 구성돼 있다. 정식 왕릉으로 인정받지 못한 사적으로 ‘구형왕릉으로 전(傳)해 내려온다’라는 뜻의‘전(傳)구형왕릉’으로 불린다.

한이 많아서인지 이끼가 끼지 않는 돌무덤에는 흔한 칡넝쿨도 뻗지 않고 낙엽마저 떨어지지 않는다고 한다. 좁다란 골짜기의 외로운 무덤가에는 화려했던 가야국의 철기문화를 아쉬워하듯 고요한 정적만이 흐르고 있다.

멀티미디어부 차장 kingwang@hankookilbo.com

구형왕릉은 ‘전(傳)구형왕릉’으로 불리는데 그 유래는 ‘구형왕릉으로 전(傳)해 내려온다’라는 뜻이다. 또한 그 한 많은 돌무덤에는 이끼가 끼지 않고 흔한 칡넝쿨도 뻗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낙엽도 떨어지지 않는다고 한다. 왕태석기자 kingwang@hankookilbo.com
구형왕릉은 ‘전(傳)구형왕릉’으로 불리는데 그 유래는 ‘구형왕릉으로 전(傳)해 내려온다’라는 뜻이다. 또한 그 한 많은 돌무덤에는 이끼가 끼지 않고 흔한 칡넝쿨도 뻗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낙엽도 떨어지지 않는다고 한다. 왕태석기자 kingwang@hankookilbo.com
구형왕릉은 ‘전(傳)구형왕릉’으로 불리는데 그 유래는 ‘구형왕릉으로 전(傳)해 내려온다’라는 뜻이다. 또한 그 한 많은 돌무덤에는 이끼가 끼지 않고 흔한 칡넝쿨도 뻗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낙엽도 떨어지지 않는다고 한다. 그래도 황량한 능 주변으로 사시사철 꽃은 피어나고 있다. 왕태석기자 kingwang@hankookilbo.com
구형왕릉은 ‘전(傳)구형왕릉’으로 불리는데 그 유래는 ‘구형왕릉으로 전(傳)해 내려온다’라는 뜻이다. 또한 그 한 많은 돌무덤에는 이끼가 끼지 않고 흔한 칡넝쿨도 뻗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낙엽도 떨어지지 않는다고 한다. 그래도 황량한 능 주변으로 사시사철 꽃은 피어나고 있다. 왕태석기자 kingwang@hankookilbo.com
경남 산청 왕산 자락에 있는 전(傳)구형왕릉은 돌무덤으로 비탈진 산기슭을 따라 일곱 층으로 쌓은 피라미드 형태로 네 번째 층에는 감실(작은 금동불이나 목불을 모시는 집) 모양의 구멍이 나 있다. 왕태석기자 kingwang@hankookilbo.com
경남 산청 왕산 자락에 있는 전(傳)구형왕릉은 돌무덤으로 비탈진 산기슭을 따라 일곱 층으로 쌓은 피라미드 형태로 네 번째 층에는 감실(작은 금동불이나 목불을 모시는 집) 모양의 구멍이 나 있다. 왕태석기자 kingwang@hankookilbo.com
그림 4 구형왕릉은 ‘전(傳)구형왕릉’으로 불리는데 그 유래는 ‘구형왕릉으로 전(傳)해 내려온다’라는 뜻이다. 또한 그 한 많은 돌무덤에는 이끼가 끼지 않고 흔한 칡넝쿨도 뻗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낙엽도 떨어지지 않는다고 한다. 왕태석기자 kingwang@hankookilbo.com
그림 4 구형왕릉은 ‘전(傳)구형왕릉’으로 불리는데 그 유래는 ‘구형왕릉으로 전(傳)해 내려온다’라는 뜻이다. 또한 그 한 많은 돌무덤에는 이끼가 끼지 않고 흔한 칡넝쿨도 뻗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낙엽도 떨어지지 않는다고 한다. 왕태석기자 kingwang@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