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과 교사들은 학종전형이 학생들의 교내 프로그램 참여를 유도하고 점수 중심의 입시문화에 변화를 가져왔다는데 대체로 동의하면서도, 선발기준을 공개하지 않는 것에 대해서는 불만을 토로한다.
올해 서울 동작구의 일반고를 졸업한 박모(19)양은 지난해 학종전형으로 서울 소재 대학 3곳에 지원했지만 모두 탈락했다. 그는 “동아리 활동도 열심히 했고 자기소개서 역시 선생님들께 첨삭을 받는 등 꼼꼼하게 준비했지만 결과가 좋지 못했다”며 “내신 등급을 2등급대로 유지했는데, 합격생 중에 내신 3등급이 있다는 소식을 듣고 크게 좌절했다”고 말했다.
교사들도 진학지도의 어려움을 호소한다. 서울 인헌고 이석문 교사는 “우리 학교의 내신 1등급 초반대 학생이 서울대ㆍ연세대ㆍ고려대의 서류전형에서 탈락했는데, 타학교의 내신 3등급 학생은 합격했다고 들었다”며 “도무지 기준을 알 수 없어 진로상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이 교사는 “이렇다 보니 대학이 자율형사립고와 특수목적고 출신 학생들 중 내신등급이 낮은 학생들을 뽑기 위해 학종전형을 악용하는 것 아니냐는 의심을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학종전형의 긍정적 효과에는 동의하지만 지금처럼‘깜깜이’로 선발할 경우 수험생들의 불안심리를 악용하는 사교육이 기승을 부릴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현장에서는 학종전형의 객관성과 공정성을 담보하려면 학생들의 면접기회를 늘리고 합격 기준을 명확히 공개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정성 평가라는 한계를 감안해 합격 사례라도 충분히 공개해야 한다는 요구다.
서울 노원구의 한 일반고 진로상담 교사(47)는 “교내 활동을 많이 한 학생들도 서류전형에서 떨어진 사례가 많아 학생들이 답답해한다”며 “면접기회라도 있다면 함께 면접을 보러 간 타 학교 학생들과 정보를 공유해 합격선이 어느 정도 가늠될 텐데, 현재로서는 대학의 주관적 평가를 마냥 믿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답답해했다.
김정안 서울시교육청 학교혁신지원센터장은 “탈락한 학생들도 그 이유를 납득할 수 있게끔 각 대학이 더 많은 합격학생 사례를 공개해야 한다”며 “장기적으로는 현장 교사, 학부모, 교육전문가 등이 각 대학 학종전형의 공정성과 타당성 등을 평가할 수 있는 제도를 도입해 대학에 피드백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주희 기자 jxp938@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