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육아 분투기] 댁의 아이가 좀 처진대요

입력
2016.04.28 14:51
0 0

어머니는 내가 일곱 살 때 나를 학교에 보내셨다. 덩치는 컸지만 용기는 부족했던 나를 학교에 보내놓고 어머니는 마음이 편치 않으셨던 것 같다. 그 때는 몰랐는데 학교에 자주 드나 드신 것을 못마땅해 하셨던 아버지와 다툼도 많았다고 한다.

학교에서 집으로 돌아오는 길목의 공터에는 늘 아이들이 모여 딱지를 치고 있었다. 어머니는 다른 아이들보다 한 살 어린 내가 행여나 아이들과 어울리지 못할까 봐 집에 있는 가장 좋은 질의 종이를 접어 딱지를 만들어주셨다. 은행에서 나눠주는 빳빳한 달력 종이는 힘도 좋고, 쉽게 터지지 않아 딱지판에서 귀한 몸이었다. 달력을 모두 딱지로 만들어 신발가방에 챙겨 넣은 후 어머니 손에 끌려가다시피 딱지치기를 하러 나갔다. 동네 아이들은 딱지치기에 한창이었다. 어머니는 그 사이를 비집고 들어가 덩치가 나보다 작았던 한 아이를 데려오셨다. 그게 내 딱지판 데뷔전이었다. 첫 번째 딱지는 단 두 번 만에 넘어갔다. 두 번째 딱지도. 세 번째, 네 번째, 그 이후에도 딱지를 연달아 잃었고 쉽게 달력딱지를 딴 녀석의 입가에는 미소가 번졌다. 보다 못한 어머니는 그 아이 곁으로 가 1,000원짜리를 건넸다. 한번 져주라는 뜻이었다. 어머니께 ‘매수 당한’ 아이는 이제 내 딱지를 넘길 마음이 없다는 양 딱지가 아닌 바닥을 향해 딱지를 내리쳤지만 딱지판 새내기인 나는 아무리 힘껏 내리쳐도 그 녀석의 딱지를 넘길 수 없었다. 이미 닳고 닳은 그 아이의 딱지는 달력으로 갓 만든 내 딱지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바닥과의 접착력이 좋아 좀처럼 넘어가지 않았다. 내가 넘기지 못하자 그 친구는 재미없다며 자기 딱지를 챙겨 들고 자리를 옮겨갔다.

그 이후로 다시는 딱지치기를 하러 가지 않았다. 그 때문이었을까. 나는 오락실도 다니지 않고, 카드놀이도 하지 않고, 자라서는 그 흔한 스타크래프트도 하지 않았는데 착실한 아이여서 라기보다 안 될 싸움은 처음부터 하지 말자는 심산 때문이었다. 그러니까 나는 ‘끝까지’ 놀아본 경험이 없다. 쉽게 이길 수 있는 싸움이 아니라면 싸우지 않으려 했다. 질 수도 있는 싸움은 하지 않으려 했기 때문에, 질 수밖에 없더라도 해야 하는 싸움을 피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었다. 만사에 끝을 보지 못하는 성급함은 끝까지, 끝을 볼 때까지, 울면서 매달리고, 힘겹게 어떤 지점까지 도달해 보려는 경험, ‘딱지치기의 끝’을 본 경험이 없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내가 잘할 수 있을까?” 새로운 유치원을 가기 전날 밤 아이가 떨리는 목소리로 말했다. “나는 그림도 잘못 그리고, 영어도 못하고, 축구도 잘 못해.” 아이 유치원에 가보니 아이의 그림은 옆에 걸려있는 다른 아이 그림보다 못하다. 공차기도 뭔가 어설프다.

“댁의 아이가 반에서 좀 처진대요.” 얼마 전 학부모 모임에 갔다가 들은 말이다. 순간 어질했다. 집에 돌아와 일곱 살 아이를 영어학원에 보내야 할까, 이제는 축구 교실에라도 보내고, 노는 것도 ‘뒤처지지 않도록’ 놀이교실을 보내야 하는 건 아닐까. 영어도, 수학도 안 가르쳤으니 못하는 것은 당연하다는 생각은 들지 않았다. 어제까지만 해도 축구교실 대신 친구들과 축구 하면 된다고 생각했는데 아이가 뒤처진다고 하니 생각이 달라지기 시작했다. 어쩌면 내 어머니는 딱지치기에서 이기게 도와줄 수 있는 ‘딱지치기 학원’이 없었기 때문에 1,000원을 건네서라도 이기게 해주고 싶었던 것인지 모른다. 아빠가 되고 나서야 어머니가 왜 그러셨던 것인지 이해가 된다. 나 역시 내 아이가 지는 것을, 져서 속상해 하는 것을 보고 싶지 않다.

아이에게 새로운 유치원이 어떤지 물었다. 재미있단다. 축구도, 영어도 잘 안 되기 때문에 더 재미있다고 한다. 내일도 또 할 거라고 했다. 아이에게 이기는 경험을 줄까, 지더라도 다시 도전하는 경험을 줄까. 이럴 때 육아가 힘들다. 시행착오를 할 수 있는 시간을 주지 않는 사회, ‘이기는 것’이 ‘지는 것이 확실해 보이는 싸움에 도전하는 것’보다 더 고귀하다고 믿는 세상에서 아이에게 시간을 주고, 꼭 이기지 않아도 된다고 말할 용기가 없기 때문이다. 육아를 위해 매수금 1,000원이 필요하지도, 너무 많은 용기도 필요하지 않은 사회였으면 좋겠다.

권영민 ‘철학자 아빠의 인문 육아’ 저자ㆍ철학연구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