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차 노조 지지 등 성공 기대
“광주에서 자동차를 몇 대 더 생산하느냐 마느냐의 문제가 아니다. 궁극적으로 우리의 아이들에게 안정된 일자리를 만들어주는 게 더 중요하다.”
15일 오전 광주시청에서 만난 윤장현 광주시장은 자동차 100만대 생산을 골자로 한 광주 자동차 밸리 사업에 대해 설명하며 ‘절박함’이란 단어를 수도 없이 사용했다. 그는 “경기가 침체될수록 더 큰 영향을 받는 곳은 수도권이 아니라 바로 광주 같은 지방”이라며 “일자리가 없어 젊은이가 고향을 등지는 절박한 현실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기업 투자와 고용이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윤 시장이 투자와 고용 창출의 해법으로 내건 자동차 100만대 생산의 성공 여부는 연봉 4,000만원으로 요약되는 ‘광주형 일자리’에 달려 있다.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데다가 쉽게 해결될 수 있는 사안도 아니어서 부정적 시각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윤 시장은 못을 박듯 “이미 첫발은 내디뎠다”고 강조했다. 그는 “기아차 노조가 광주형 일자리를 지지하고 한국노총도 같은 뜻을 밝혀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가 좋으면 역사적인 노사민정 대타협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며 “이 경우 친환경 자동차로 전환하는 시대에 광주는 기업이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곳으로 거듭날 수 있다”고 기대했다.
과거 시민운동을 했던 윤 시장은 1998년 기아차 부도 사태 때 자동차 산업의 중요성을 실감했다. 제조업 공장이 떠나면 도시 전체의 경제가 무너질 수 있다는 경각심에 광주의 자동차 산업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한 것도 이 때다. 윤 시장은 “광주형 일자리는 기존 근로자의 임금을 줄이는 게 아니고 연봉 2,000만원 정도에 불과한 지역 근로자 연봉을 올려 우리 아이들이 떠나지 않도록 붙잡는 게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광주의 도전은 구호로 끝나지 않을 것”이라며 “광주가 가진 공동체 정신이란 자양분 위에서 안정된 고용과 적정한 이윤이 공존하는 새로운 사업 모델을 반드시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광주=김창훈 기자 chkim@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