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타이밍, 소통’ 20대 총선 참패로 심판 받은 박근혜 대통령의 남은 임기 2년을 좌우할 세 가지 열쇠말이다.
박 대통령은 경제를 살려 집권 하반기 민심 이반을 막으려 했지만 뜻대로 되지 않았다. 경제성장률은 2년 연속 2%대로 주저 앉을 공산이 크고 체감 경기를 좌우하는 고용률과 소득증가율은 바닥이다. 2030 세대가 정권 심판을 외치며 떼지어 총선 투표장에 나온 것도 ‘먹고 살 일’에 대한 불안 때문이었다.
대통령 지지도를 좌우하는 것은 결국 경제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지지도가 퇴임을 약 10개월 남기고 50%대를 지키고 있는 것은 양적 완화와 경기 부양책 등에 힘입어 미국 경제가 살아난 덕분이다.
문제는 세계경제 위기와 가계부채 폭탄 탓에 우리 경제가 좋아질 기미도, 계기도 별로 없다는 것이다. 더구나 노동ㆍ금융 등 4대 부문 개혁과 창조경제, 서비스산업 육성 등 경제 활성화와 경제 체질 개선을 위해 청와대가 추진한 정책들이 총선 참패로 동력을 상당 부분 잃었다.
이에 박 대통령은 15일 청와대에서 에르나 솔베르그 노르웨이 총리와 정상회담을 하면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만들기 위해 창조경제를 추진하고 있다”면서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지만 노동개혁이 꼭 이루어져야 한다는 신념 하에 적극 추진해 나가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여소야대의 20대 국회에서도 경제살리기를 위한 핵심 국정과제를 포기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한 것이다.
박 대통령이 위기 극복의 결정적 타이밍을 이번에는 놓치지 않을 것인지도 관건이다. 박 대통령은 2014년 세월호 참사와 지난해 정윤회 문건 파문,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 등 대형 악재가 터졌을 때 기민하게 대응하지 않았다. ‘마이웨이 국정’이라는 비판이 빗발치고 지지도가 추락하고 나서야 떠밀리듯 뒤늦게 움직였다. 총선이 이틀 지난 15일까지 청와대에서 ‘반성’이라는 말이 나오지 않은 것은 박 대통령이 달라지지 않을 가능성에 무게를 실었다. 이에 박 대통령이 18일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하면서 총선 이후 내놓을 첫 번째 메시지가 주목된다.
민심이 총선에서 새누리당을 국회 제1당에서 끌어내린 것은 ‘불통’이 상징하는 청와대의 오만함에 대한 혹독한 심판이었다. 박 대통령이 이제라도 국회ㆍ국민과 적극적으로 소통을 시도하는 것이 레임덕(임기말 권력누수 현상) 본격화의 위기에서 벗어날 마지막 기회라는 주문이 쏟아지고 있다. 박 대통령은 19대 총선에서 경제민주화를 도입하고 청바지를 입고 유세장을 누비는 등 철저하게 변신했었다.
최문선기자 moonsun@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