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당 동시 심판론 공감” 응답 중 호남ㆍ20대 등 지지층 비율 높아
여와 정면승부 소홀… 전략 실패
더불어민주당의 전략적 한계가 4ㆍ13 총선을 목전에 둔 상황에서 국민의당 약진을 가져왔다는 지적이 나온다. 더민주만의 정책 이슈와 캠페인 없이 “야권 분열은 야권 공멸을 가져온다”는 주장을 앞세워 무리하게 야권통합과 후보 단일화를 밀어붙였던 게 스스로 발목을 잡는 상황을 초래했다는 것이다.
7일 한국일보와 한국리서치의 3차 유권자 인식 조사 결과, ‘양당 동시 심판론’에 공감한다는 응답이 43.5%에 달했다. 지역별로는 호남(62.2%), 연령별로는 20대(51.2%)에서 가장 높았다. 더민주 지지층에서 ‘양당 심판론’에 대한 목소리가 높았음에도, 자기 반성의 메시지 없이 국민의당 때리기에만 몰두한 셈이다. 제1당(새누리당)과의 정면승부보다 제3당(국민의당)과 경쟁을 우선시한 이른바 ‘2등 전략’에 안주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한울 고려대 연구교수는 “이번 총선 이후 대선을 감안해서라도 봉합해야 하는 야권 분열을 오히려 부각시키면서 수권정당을 둘러싼 새누리당과의 경쟁에 집중하지 못했다”고 분석했다.
더민주의 국민의당 때리기는 텃밭인 호남에서 집중됐다. 공식 선거운동 개시 후 김종인 비상대책위 대표가 두 차례 호남을 방문, 야권 분열의 책임을 국민의당과 안철수 국민의당 공동대표에게 돌린 게 대표적이다. 더민주에게도 야권 분열의 공동 책임이 있다고 생각하는 호남 민심을 제대로 읽지 못한 탓이다. 이처럼 28개 의석이 걸린 호남에서의 싸움에 골몰한 나머지 122개 의석이 걸린 수도권에서 정작 정권 견제론을 확산시킬 기회를 놓쳐버렸다. 이 과정에서 스스로 내세웠던 ‘경제실정 심판론’은 묻혀버렸고, 기존 양당정치에 대한 불신만 가중시켰다는 평가가 적지 않다.
이런 더민주의 실책은 대구ㆍ경북과 5060세대의 이탈, 중도층의 반감을 되돌리는 게 급선무인 새누리당에게 준비할 시간적 여유를 제공했고, 소선구제에서 존재감을 갖기 어려운 제3당을 부각시켜주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에 대해 이철희 더민주 중앙선대위 종합상황실장은 “워낙 지역구 현장에서 단일화 요구가 높았던 탓에 중앙당이 이를 외면할 수 없던 측면이 있다”면서 “남은 기간 야권 내부 경쟁보다 여야 대결을 부각시키기 위해 수도권 공략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회경 기자 hermes@hankookilbo.com
*한국일보가 한국리서치에 의뢰, 4월 5~6일 전국 유권자 1,000명을 대상으로 유ㆍ무선전화 임의걸기(RDD) 방식으로 진행됐다.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2016년 2월 행정자치부 발표 주민등록 기준 지역ㆍ성ㆍ연령별 가중치를 부여했고, 응답률은 9.5%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공정심의위원회 홈페이지(nesdc.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