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무관심도 한 달 전과 비슷
4ㆍ13총선이 보름도 채 안 남았지만 유권자 10명 중 6명은 자신의 지역구에 출마하는 후보자의 경력이나 공약에 대해 알지 못한다고 답했다. 62일간 계속된 헌정사상 초유의 선거구 공백사태로 20대 총선에 적용할 선거구 획정이 지연되고, 뒤이어 공천 파동을 겪은 게 원인으로 지적된다. 후보등록 직전까지 정당 후보자도 확정하지 못하는 등 여야 정치권이 불신만 쌓은 탓이다.
본보의 2차 총선 여론조사 결과, 후보자의 경력이나 공약에 대해 응답자의 62.0%가 ‘아는 것이 없다’고 말했다. ‘전혀 아는 게 없다’가 23.3%, ‘별로 아는 게 없다’가 38.7%였다. ‘잘 알고 있다’는 응답은 36.8%에 그쳤다. 정당 지지층별로 보면 후보나 공약에 대해 아는 게 없다는 응답은 지지 후보를 선택하는 시기가 상대적으로 늦은 무당파에서 75.8%로 높았다. 반면 초기에 선택하는 경향이 강한 새누리당 지지층은 52.4%로 가장 낮았다.
후보자나 공약에 대한 유권자의 무관심은 투표참여 의사를 묻는 질문에서도 확인된다. 본보의 지난달 1차 조사와 이번 2차 조사를 비교 분석한 결과, 한 달여의 시간이 지났지만 유권자의 투표참여 의사는 정체되고 있다. 선거에 매우 관심이 많다는 응답은 1차의 66.7%에서 67.6%로 큰 변화가 없었다.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적극적 투표의사층 규모도 같은 기간 69.1%에서 69.7%로 소폭 증가하는데 그쳤다.
이 같은 무관심은 유권자의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 낼만한 총선 이슈가 부재한 것도 한 이유다. 18대 총선 당시 ‘뉴타운’ 2010년 지방선거 때의 ‘무상급식’과 같은 굵직한 이슈가 이번 총선에서는 찾아보기 힘들다는 지적이다.
이동현기자 nani@hankookilbo.com
*한국일보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20대 총선 2차 유권자 인식조사는 3월 29일부터 2일간 전국의 유권자 1,000명을 대상으로 유ㆍ무선전화 임의걸기(RDD) 방식으로 진행됐다.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지역ㆍ성ㆍ연령별 가중치를 부여했고, 응답률은 9.0%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공정심의위원회 홈페이지(nesdc.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