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교육청이 특목고와 자사고의 학생 우선 선발권을 폐지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특목고와 자사고가 일반고에 앞서 학생을 선발하는 현행 방식이 우수 학생을 선점하는 특혜로 작용한다는 판단에서다. 빈사상태인 일반고를 살리려면 특목고-자사고-일반고로 이어지는 서열체계 해체가 필수적이라는 얘기다.
일반고 위기가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상황은 갈수록 심각하다. 서울시 교육연구정보원이 서울지역 일반고 교사 1,2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90% 이상이 일반고 위기론에 동의한다고 답했다. 중하위권 이하 학생들이 집중되면서 대다수가 무력감과 열패감에 젖어 정상적 학습과 생활지도가 어렵다는 것이다. ‘경제적으로 어려운 가정의 자녀들이 진학하는 학교’’성적이 뒤떨어지는 학생이 다니는 학교’로 낙인 찍혀 있는 게 일반고의 현주소다.
교사들은 일반고 위기를 초래한 가장 큰 원인으로 특목고, 자사고에 중상위권 학생들을 우선 선발할 수 있도록 한 현행 고교선발 방식을 꼽는 데 주저하지 않는다. 최근 서울시교육청의 의뢰를 받아 제출된 두 개 팀의 연구보고서는 모두 일반고 위기 타개책으로 학생 선발 방식 변경을 제언했다. 1단계에서 직업 교육을 위주로 하는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를 뽑고 2단계에서는 특목고와 자사고, 일반고를 동시 선발하자는 주장이다. 이 방안은 학교 간 차별을 일정 정도 해소하고 고교 평준화 취지를 살릴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현행 법령을 개정하지 않고 교육감 권한으로 할 수 있고, 특목고와 자사고의 반발도 상대적으로 크지 않을 것으로 보여 조속한 시행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장기적으로는 특목고와 자사고를 일반고에 통폐합해 일반고 중심으로 고교체제를 단순화할 필요가 있다. 고교 서열화 심화와 평준화 제도의 본격적 와해는 지난 2010년 자사고를 무더기로 지정하면서 비롯했다. 교육의 다양화를 명분으로 자사고가 대거 설립됐으나 입시기관으로 변질되면서 고교 서열화가 강고해졌다. 현행 고교 체제는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지도 못한다. 특목고와 자사고는 진학교육을 중점으로 하는 학교여서 일반고와의 차별화도 어렵다.
교육의 다양성 확대가 우리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라는 데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이는 학교 유형의 다양성이 아니라 교육과정 운영의 다양성을 통해 실현돼야 한다. 학교 유형을 다양화해도 성적 위주의 줄 세우기 교육을 한다면 교육적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입시 위주 교육보다는 자신의 관심 분야를 학습할 수 있고, 다양한 교과를 배울 수 있는 일반고가 창의력 신장에도 효과적임을 인식해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