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정부 때 자원개발 주도
자산가치 하락 뒤늦게 반영
수조원대 추가 손실도 예상
이명박(MB) 정부 당시 해외자원개발 사업을 주도한 한국석유공사와 한국광물자원공사가 최근 5년간 기록한 손실이 1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은 향후 수조원대의 추가 손실이 예상된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홍영표 의원이 8일 공개한 석유공사ㆍ광물공사의 2015년 결산 분석 결과에 따르면 석유공사는 4조5,000억원, 광물공사는 2조636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석유공사의 경우 최근 5년(2011~2015년) 연속 손실을 기록 중이다. 이 기간 손실 합계는 7조9,000억원에 이른다. 광물공사는 적자가 2012년 211억원, 2014년 2,635억원 수준이었으나 지난해에는 손실이 2조원이 넘었다. 석유공사와 광물공사의 회계장부에 기록된 손실만 10조원을 상회한다.
손실이 지난해 들어 급증한 것은 유가와 광물가격 하락이 주요인이기도 하지만 자산가치 하락 등을 뒤늦게 회계에 반영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광물공사의 경우 2,000억원을 들여 사들인 캐나다 캡스톤사 주식 4,000만주의 가치가 200억원대까지 떨어진 지난해에야 회계에 반영했다.
홍 의원은 “이명박 정부의 잘못된 투자와 대규모 손실을 은폐하기에만 급급한 박근혜 정부 때문에 손실 규모가 천문학적으로 불어났다”며 “더 큰 문제는 드러난 손실이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는 점”이라고 주장했다.
광물공사의 경우 사실상 도산 상태인 멕시코 볼레오 동광산 사업을 제무제표에 2조2,188억원 규모의 건설 중인 자산으로 수년째 반영해온 것으로 드러나 추가 손실이 불가피하다.
석유공사는 국제 유가가 지금보다 2배 가까이 오르지 않는 한 영업손실, 이자비용, 세금 등 비용지출을 감당하기 어려워 연간 수조원대의 손실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예측됐다.
지난해 감사원 자료에 따르면 석유공사와 광물공사는 해외 자원개발 사업에 각각 97개 사업에 20조818억원, 47개 사업에 4조30억원을 쏟아 부었다.
석유공사의 해외 자원개발 자회사들의 현금이 바닥을 보이고 있다는 점도 문제로 꼽혔다.
석유공사는 3조5,000억원에 인수한 영국 다나사가 지난해 1월 ‘지급불능’(디폴트) 위기에 놓이자 3,000억원의 구제 자금 지원을 이사회에서 의결했다.
홍 의원은 “10조원에 이르는 국민 혈세가 이미 증발했고 그 보다 더 큰 국부가 사라질 위기임에도 그 누구도 책임지지 않았다”며 “석유공사와 광물공사는 직원 20% 감원과 사옥 매각 등 자구 방안을 통해 천문학적 국부 손실 책임을 애꿎은 직원들에게 돌리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환직기자 slamhj@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