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보증기금에서 보증을 받은 기업이 부실 발생 없이 생존한 기간이 평균 8.6년인 것으로 조사됐다.
2일 신보의 ‘보증기업의 생존특성 및 생존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2001∼2010년 설립돼 보증을 이용한 21만7,336개 기업이 2014년 말까지 최장 14년간 부실이 발생했는지를 추적 관찰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신보 보증기업의 3년 생존율(부실이 발생하지 않은 기업의 비율)은 80.5%였고, 5년 생존율은 68.0%였다. 절반 이상인 50.6%의 기업이 9년 동안 생존했다.
전체 보증기업의 생존율은 1년차에 95.8%에서 2년차 87.7%, 3년차 80.5%, 5년차 68.0% 등으로 초기에 생존율이 급격히 감소하다가 7년차 이후 안정화되는 패턴을 보였다.
업력 1년 미만 기업의 보증 후를 추적해보면, 1년 생존율이 93.2%였으나 2년 생존율이 81.6%로 11.6%포인트 떨어졌다. 3년 생존율이 72.6%로 다시 9%포인트 낮아지고, 4년 생존율(65.4%)과 5년 생존율(59.5%)까지 하락폭이 큰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통계청의 2013년 집계에서 국내 중소기업의 3년 생존율이 41.5%이고, 5년 생존율이 30.9%를 보인 것과 비교하면 신보의 보증을 받은 기업이 데스밸리를 통과할 가능성이 더 컸다.
신생 기업이 창업한 뒤 3∼5년의 기간은 자금조달, 시장진입 등의 어려움을 겪다가 생존율이 급격히 떨어지는 현상이 벌어지는데, 이를 ‘데스밸리(Death Valleyㆍ죽음의 계곡)’라고 부른다.
업력 1년 미만 기업의 보증 후 평균 생존기간도 7.84년으로 국내 일반 창업기업의 5.3년보다 길었다.
신보의 분석에 따르면 종업원수와 신용평가등급, 업력, 자산규모 등 기업의 속성 외에 기업 대표자의 속성도 기업의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됐다. 대표자가 창업한 경우의 부실발생 위험률이 승계경영보다 20%가량 낮았고, 대표자가 30∼50대인 경우가 20대, 60대인 경우보다 10∼20% 낮았다. 대표자가 남성인 경우에도 여성인 기업보다 위험률이 10% 낮았다.
중소기업대출금리, 물가상승률 등 거시경제 환경도 기업 생존에 영향을 미쳤다. 대출금리가 1%포인트 오르면 부실발생 위험률은 3.6∼6.4%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됐고, 소비자물가상승률이 1%포인트 오를 때 위험률은 1.2∼2.4%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상욱기자 thoth@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