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인문사전
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지음
휴맨앤북스 발행ㆍ928쪽ㆍ5만원
삶의 시작과 끝을 같이했던 만큼
우리나라 사람들에 친근한 나무
문예ㆍ역사ㆍ생활ㆍ생태 등 집대성
‘松’에 얽힌 전설ㆍ금강송의 유래처럼
학술보단 재미있는 이야기에 중점
새롭게 공개된 사진들도 눈길
아마 우리와 가장 친근한 나무는 소나무일 것이다. 무슨 산과 무슨 소나무가 등장하지 않은 교가가 없을 정도니 말이다. 편찬위원장 자격으로 서문에 써둔 소설가 김주영의 말처럼 “과거 한국인은 소나무로 지은 집에서 태어나고, 생솔가지를 꽂은 금줄이 쳐진 집에서 지상의 첫날을 맞고, 사는 동안 소나무로 만든 가구나 도구를 사용하다가 죽을 때도 소나무 관에 들어갔”을 정도다.
아무리 우리나라에 소나무가 많고, 또 사람들이 소나무를 친숙하게 여기고 좋아한다지만 소나무에 대한 모든 걸 총정리한다면? 어떻게 보면 이렇게 무식한(?) 방법이 있을 수도 있겠구나 싶다. ‘소나무 인문사전’은 900쪽이 넘는 분량으로 진짜 이 일을 했다.
‘사전’답게 소나무의 모든 것을 문화예술ㆍ인문역사ㆍ생활ㆍ생태 등 7개 분야로 나눈 뒤 가나다 순으로 1,447개의 표제어로 정리했고, ‘인문’답게 소나무 전문가 전영우 국민대 교수 외에도 시인 김명인, 소설가 김주영, 미술사가 변영섭, 문학평론가 최동호 등이 편찬위원으로 참여했다. 나무 칼럼니스트 고규홍 등이 새롭게 찍은 사진을 제공했다.
이 때문에 학술적인 면모보다 아주 재미난 이야기들이 많다. 소나무 송(松)에 얽힌 전설이 대표적이다. 진시황이 나들이를 가던 중 갑작스레 비가 내렸다. 비를 피할 곳이 없어 우왕좌왕하고 있는데 곁에 있던 어떤 큰 나무가 가지를 들어 피할 곳을 만들었다. 진시황은 감사의 마음으로 나무(木)에다 공작벼슬을 뜻하는 공(公)자를 붙여 송(松)자를 만들었다. 비 한번 가려줬다고 공작벼슬을 줄 정도니 황제는 황제다.
이건 우리나라에서도 그대로다. 충북 보은군에서 만날 수 있는 천연기념물 정이품송이 ‘정이품’의 벼슬을 받을 수 있었던 것도 비슷한 이유에서다. 인근 법주사를 찾았던 조선의 세조가 소나무 앞을 지나가던 중, 축축 늘어진 소나무의 가지를 보고 “가마가 걸리겠구나”했더니 소나무가 축 늘어진 가지를 살포시 들어올려줬단다. 왕의 행차를 잘 보살펴줘서 받은 게 오늘날 장관급 직위인 정이품이다.
문화재 복원 등이 있을 때마다 늘 거론되는 금강송 얘기도 빠질 수 없다. 1928년 일본 학자 우에키 호미키가 우리나라 소나무를 조사한 뒤 동북형 등 6가지 소나무로 구분했는데, 이 가운데 하나가 강원 남부와 경북 지역에서 자라는 금강형이다. 이 가운데서도 속이 꽉 들어차 짙은 황색을 띄는 것들이 있는데 이를 금강송이라 한다. 노랗기 때문에 황장(黃腸)목이라고도 한다. 예로부터 곧고 길고 단단하다는 이유로 왕실에서 쓰는 가장 좋은 목재로 꼽혔다. 경북 울진의 금강소나무 ‘오백년송’ 등 각지의 금강소나무 사진들도 다 수록되어 있다.
기획ㆍ출간을 진행한 하응백 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장은 “인문학의 위기라고 얘기하는데 가장 친숙하게 접할 수 있는 주변의 우리 전통부터 확실하게 하나씩 챙겨보자는 생각에 만들게 됐다”면서 “소나무에 이어 다른 주제로 4~5권 정도를 더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조태성기자 amorfati@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