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북한의 대남 후방테러 위협 가능성이 감지되면서 경찰이 주요 탈북 인사의 신변 경호를 강화하고 있다. 또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을 비롯한 외교안보부처 장관 등도 북한이 테러 타깃으로 삼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경호 인력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경찰청 관계자는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장거리미사일 발사 등 무력 도발을 계기로 주요 탈북민 경호 강화 지시를 내렸다”고 19일 밝혔다.
북한 외교관 출신으로 1991년 망명한 고영환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부원장의 경우 정보당국이 북한 암살 지령 첩보를 입수, 경호 수위를 최고 수준으로 올린 상태다. 경찰은 지난달 중순부터 기존 2명이 담당하던 경호인력을 8명으로 늘려 24시간 밀착 경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군 출신으로 1979년 망명한 탈북박사 1호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센터 소장도 “경찰이 사흘 전부터 경호원을 약간 늘렸고 집과 사무실에 설치된 폐쇄회로(CC)TV 작동도 재점검했다”고 말했다. 경찰은 고위급 탈북인사의 경우 중무장한 경호원을 7,8명 붙이고, 다른 관리 대상자도 급수에 따라 경호인력을 1,2명 정도 보강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북전단 살포를 주도하면서 평소 살해 협박을 자주 받는 것으로 알려진 박상학 자유북한운동연합 대표 역시 경호가 강화됐다. 박 대표는 이날 “열흘 전에 경찰에서 대외 활동을 자제하라는 얘기를 들었다”며 “경호 경찰도 30,40대로 바뀌고 국가정보원 요원으로 추정되는 사람들도 주변에서 눈에 띄었다”고 말했다.
경찰과 정보당국은 외교안보부처 주요 당국자들에 대한 북한의 테러 위협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보고, 이들에 대한 신변안전보호 조치도 강화하고 있다. 정보당국 관계자는 “고위당국자들에 대한 직접적 테러 가능성은 낮아 보이지만, 위협을 지속적으로 가해 심리적으로 위축시키려는 압박 전략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정보당국은 또 북한이 조만간 사이버 테러도 전개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보고 있다. 북한은 역대로 핵실험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사이버 공격에 나서는 도발 패턴을 보여왔기 때문이다. 북한은 2009년 5월 2차 핵실험 두 달 뒤인 7월 정부기관을 상대로 한 디도스(분산 서비스거부) 공격을 단행했고, 2013년 2월 3차 핵실험 한달 뒤엔 언론ㆍ방송ㆍ금융사 홈페이지를 마비시키는 등 대대적인 사이버 공격에 나섰다. 국정원 출신의 이철우 새누리당 의원은 “북한은 항상 핵실험을 하고 난 다음에 우리에게 사이버공격을 가해왔다”며 “5월 노동당 당 대회 전 3월이나 4월 반드시 공격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사이버테러의 경우 북한의 소행이라고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아 우리의 보복 대응을 무력화시키고, 사회혼란을 부추겨 남남갈등을 유발시키는 데 용이하다. 정보 당국 관계자는 “지하철 등 공공시설에 대한 직접적 사이버공격으로 사회 안전망을 마비시키고, 국민들의 불안감을 조성해 정부로 하여금 강경한 대북정책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압박을 가하려는 목적이 가장 클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환기자 bluebird@hankookilbo.com 강윤주기자 kkang@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