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2019년에 고령사회로 접어들고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에 접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3-2033년 서울시 자치구별 장래인구 추계’ 자료를 16일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2013년 10.9%인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19년 14.3%로 증가해 ‘고령사회’로 첫 진입하고, 앞으로 10년 후인 2026년에는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이 20%를 넘는 ‘초고령사회’로 접어든다. 5명중 1명이 노인인 셈이다. 특히 2032년에는 서울시 모든 자치구의 고령인구 비율이 20%를 넘게 된다.
반면 유소년(0세~14세) 인구는 지속적으로 줄어 2013년 125만8,000명에서 2033년 105만1,000명으로 20만8,000명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는 향후 20년간 서울시 모든 자치구의 인구구조는 현재 ‘항아리’ 형태에서 점차 저연령층이 줄고 고연령층이 증가하는 ‘역피라미드’형태로 변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총인구를 연령별로 세우면 정중앙에 있는 사람의 연령인 ‘중위연령’은 전 자치구 평균 2013년 39세에서 2033년 48.6세로 9.6세 높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50세가 넘는 자치구도 9개나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2013년 758만3,000명(76.4%)에서 점차 감소세를 보여 2033년에는 601만7000명(63.6%)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생산가능인구 100명 당 부양해야 할 인구수를 의미하는 ‘총부양비’는 2013년 30.9명에서 2033년에는 57.2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 전체 인구는 2013년 992만6,000명에서 지속적으로 감소, 2033년에는 946만 명이 될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시 자치구별 장래인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서울통계 홈페이지(stat.seoul.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손효숙기자 shs@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