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소방안전본부는 올해 4억원을 들여 낙동강유역환경청과 부산경찰청이 따로 관리하는 위험물질 정보를 하나로 묶는 ‘위험물질 통합관리시스템(HUMS)’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12일 밝혔다.
이 시스템이 운용되면 출동 중 사고현장에 적합한 대응작전을 구상할 수 있어 대형화재로 확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소방대원의 안전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소방본부는 이를 위해 지난 8일부터 3개월간 일정으로 각 기관이 관리하고 있는 위험물질 현황·대응매뉴얼 DB구축과 통합관리시스템 프로그램 개발 등을 위해 TF팀 운영에 들어갔다.
지금까지는 위험물질 사고발생 시 119종합작전상황실 접수요원이 직접 사업장 내 위험물질의 유무와 취급량, 대응매뉴얼 등을 검색해 출동분대에 전파, 검색 시간만 약 10분 이상 걸렸지만 이 시스템이 가동되면 소방대원의 단말기로 현장 관련 정보가 자동 전송된다.
실제 지난해 8월 12일 중국 텐진항 폭발사고 시 현장 정보가 없어 사고현장에 물과 섞이면 폭발하는 물질이 보관돼 있다는 사실을 모르고 물을 뿌려 소방대원 112명이 숨지고 민간인 900여명이 숨지거나 다치는 참사가 발생하기도 했다.
현재 3개 기관이 관리하는 위험물질 사업장은 6,980곳. 소방본부가 4,300곳으로 가장 많으며, 환경부 산하 낙동강유역환경청이 관리하는 사업장이 2,620곳, 경찰청이 30곳을 관리하고 있다.
이번에 구축되는 시스템이 상용화되면 앞으로 가스류(고압가스안전관리법), 방사성물질(원자력법), 마약류(마약류관리에관한 법률), 농약(농약관리법 등) 등에 대한 정보도 관련 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출동분대에 바로 제공된다. 전혜원기자 iamjhw@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