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시주석과 통화 포함 협조방안 다각검토"…대북제재 실효성이 열쇠
푸틴 대통령과 통화 여부도 주목…1ㆍ2차 핵실험 직후엔 정상간 통화
박근혜 대통령이 북한의 4차 핵실험과 관련해 조만간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전화통화를 갖고 대북 압박의 공조체제를 구축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박 대통령은 북한 핵실험이 이뤄진 지 하루만인 7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잇따라 통화를 갖고 '강력한 대북제재'로 뜻을 모았고, 시 주석과의 통화까지 이뤄지면 대북압박 효과가 상당할 것이란 점에서다.
특히 북한이 유엔 안보리의 제재에 아랑곳하지 않는 상황에서 중국이 사실상 추가 대북제재의 실효성에 열쇠를 쥐고 있기 때문에 한중 정상 간 통화 성사 여부에 시선이 쏠리고 있다.
이와 관련해 청와대 정연국 대변인은 8일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박 대통령과) 시 주석과의 통화 등 중국과 협조방안을 다각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중국은 핵실험에 대해 격앙된 반응을 내놓고 있는 만큼, 통화가 성사된다면 대북 제재 문제를 놓고 한중 정상이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 경우 박 대통령이 북핵 문제를 포함해 한반도를 둘러싼 4강외교에서 주도권을 행사할 수 있는 입지가 넓어질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박 대통령은 작년 9월 중국 전승절 행사에 참석, 이른바 '톈안먼(天安門) 망루 외교'를 펼쳤고, 10월 한미 정상회담, 11월 한일 정상회담 등 숨가쁘게 이어지는 정상외교 일정을 소화하면서 주변국과의 관계를 다져놓았다.
더구나 과거 1ㆍ2ㆍ3차 핵실험 직후에는 한중 정상 간 통화가 없었다는 점에서 박 대통령과 시 주석이 북핵 대응 방안을 논의하게 된다면 의미가 더욱 부여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2009년 5월 2차 핵실험과 2013년 2월 3차 핵실험 직후에는 정상 간의 통화나 만남 등 접촉이 없었다.
또한, 2006년 10월 9일 북한의 1차 핵실험이 이뤄진 나흘 뒤인 16일 당시 노무현 대통령이 중국을 실무방문해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과 회담을 가진 바 있으나, 이는 핵실험 이전에 정해진 일정이었다.
한중 정상 간 통화 여부는 이날 오후 7시 예정된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 간의 통화에서 가닥이 잡힐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
이와 함께 박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도 통화를 가질지도 관심을 모으고 있다.
북한의 1ㆍ2차 핵실험 직후에는 한러 정상 간 통화가 이뤄졌으나, 3차 핵실험 이후에는 별다른 접촉이 진행되지 않았다.
연합뉴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