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범 3년을 넘긴 세종시에게 2015년은 희비가 교차하는 한 해였다. 행정도시 1단계 사업이 완료되는 올해 실질적인 행정수도 기반을 구축하고, 내부적으로 도시 행정을 다듬고 공들인 해였다고 세종시는 자평했다.
시의 올해 최고 뉴스는 ‘서울~세종 고속도로 확정’이 꼽히고 있다. 국민안전처와 인사혁신처, 소청심사위원회, 정부처사관리소 등 4개 기관(1,585명)의 내년 3월 세종시 이전 결정도 희소식이었다.
인구는 21만명을 넘어섰으며, 내년 본예산 규모도 올해보다 21.8% 늘어난 1조 1,173억원으로 개청 이래 처음으로 1조원을 돌파했다.
행정에 있어서도 다양한 시도를 했다. 복합행정타운 등‘청춘 조치원 사업’27개를 적극 추진했고 로컬푸드 직매장 1호점을 신도심에 열었다. 농업법인 설립과 창조마을 조성, 창조경제혁신센터 가동 등 미래 농업도 준비했다.
소득과 일자리 등 6개 분야의 세종시민 복지기준을 마련했으며, 첫 아이 출산 장려금 120만원 인상, 읍ㆍ면지역 고교까지 무상급식 등 시민복지도 확대했다. 안전도시위원회 운영 등 노력에 힘입어 국민안전처 지역안전지수 평가에서 1등급도 받았다. 소방서 확충, 재난종합상황실과 119종합상황실 통합 등을 통해 재난 대응 체계도 업그레이드했다.
기업유치를 통한 자족도시 기반 확충과 대중교통체계도 개선했다. 올해 SK바이오텍 등 70개 기업을 유치하고, 첨단산업단지를 100% 분양했다. 간선급행버스(BRT)와 시내버스 운행을 확대하고, 교통 소외 지역에 택시도 도입했다. 새로운 교통수단을 도입해 교통공단이 운영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대중교통체계 개편 방안도 마련 중이다.
세종형 행정체계를 구축한 것도 주목 받았다. 시는 감사위원회를 출범시키고, 책임읍동제를 시행해 단층제 광역자치단체의 문제 해결을 시도했다. 현장방문과 정례브리핑 등을 통한 소통에도 신경 썼다.
각종 성과와 노력으로 올해를 알차게 보낸 세종시지만 아쉬움도 많이 남는다.
우선 미래부의 세종 이전을 매듭짓지 못한 게 가장 큰 아쉬움이다. 법적 논리를 떠나 정치적 해법을 찾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내년도 국비를 올해보다 크게 증액 확보했지만 우선사업으로 꼽은 주요 현안은 반영시키지 못한 것도 뼈아프다. 숙원 사업 중 하나인 아트센터 건립을 위해 시는 1,200석 규모 대공연장 건설 설계비(31억원)를 요구했지만, 700석 규모(22억원)로 축소 반영됐다. 조치원 연결도로 확장 사업 설계비(12억원)와 향토문화자료관 설계비(2억5,000만원), 국가상징공원 조성 설계비(20억원)는 아예 빠졌다.
이춘희 시장은 지난 23일 브리핑에서 “내년은 행정도시 건설 2단계가 시작되는 중요한 시기”라며 “행복청, 교육청, 토지주택공사와 더 긴밀히 협력해 역점 사업들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최두선 기자 balanceds@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