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총수일가의 등기이사 등재율이 점차 낮아지면서 책임경영을 멀리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총수일가를 견제하고 경영의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하는 사외이사도 줄어 기업 투명성에도 의문이 생기는 상황이다.
▲ 연합뉴스
공정거래위원회가 23일 발표한 '2015년 대기업집단 지배구조 현황'에 따르면 40개 대기업 계열사 가운데 총수일가가 1명 이상 등기이사로 등재된 회사의 비율은 21.7%(294개사)였다. 이는 지난해보다 1.1%포인트 낮아진 것은 물론 최근 몇 년간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공정위가 삼성·현대차·SK 등 총수가 있는 40개 대기업 계열사 1,365곳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총수일가가 이사로 등재된 대기업 계열사의 비율은 2012년 27.2%에서 2013년 26.2%, 지난해 22.8% 등 꾸준히 낮아지고 있다. 총수가 이사로 등재된 회사 비율도 지난해 8.5%에서 올해 7.7%로 떨어졌다.
올해 조사에서 총수일가의 이사 등재 감소가 가장 많은 곳은 한진그룹(6개사)이었다. 대성이 5개사로 뒤를 이었고 삼성·신세계는 1곳, SK·한화는 2곳이었다. 미래에셋은 23개 계열사 중 총수일가가 등기이사를 맡은 곳이 한 곳도 없었다.
대기업 사외이사가 회사 안건에 반대한 비율은 지난해보다 더 낮아져 의사결정의 투명성 또한 뒷걸음질 친 것으로 나타났다. 총수가 있는 대기업 이사회의 사외이사 비율은 49.5%로 지난해(49.8%)보다 0.3%포인트 줄었다. 이랜드(25.0%), OCI(32.3%), 한솔(33.9%) 등의 기업은 사외이사 비율이 낮았다.
총수일가의 권력을 견제하는 역할을 해야 하는 사외이사의 이사회 참석률도 92.6%로 지난해 92.1%보다 0.5%포인트 하락했다. 이사회 내 사외이사 비중과 사외이사들의 이사회 참석률은 작년까지 계속해서 높아졌지만 올해 들어 감소세로 돌아섰다.
최근 1년간(2014년 5월∼2015년 4월) 대기업 계열사의 이사회 안건 5,448개 중 사외이사 반대 등으로 부결되거나 수정된 안건은 단 13건(0.24%)에 그쳤다. 이는 1년 전의 이사회 안건 부결 또는 수정 비율인 0.26%보다 더 낮은 수치다.
사외이사 후보 추천위원회를 설치한 48개 대기업(총수 없는 대기업 8개 포함) 소속 상장사는 124개로 지난해보다 3개사나 감소했다.
공정위 관계자는 "총수일가의 이사 임기가 만료와 중도 사임으로 이사 등재 회사 비율이 매년 감소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대기업 총수일가의 책임경영 측면에서 미흡한 양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사외이사의 권한 행사도 아직 활성화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채성오기자 cs86@sporbiz.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