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경제정책방향] 주요 용어 설명
정부가 내년 경제정책방향에서 중점을 두겠다고 밝힌 경상성장률은 다른 말로 명목성장률(nominal growth rate)이라고도 쓰인다. 경상성장률은 가격으로 단순 표시되는 성장률을 말한다. 예컨대 작년에 1,000만원을 벌다 올해 1,100만원을 벌었다고 할 때, 그 동안 오른 물가와 상관 없이 소득이 10% 늘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때 쓰는 개념이 경상성장률이다.
그런데 1년 사이 물가가 10% 올랐다고 가정하면, 작년에 1,000만원으로 1만원짜리 물건 1,000개를 살 수 있었지만 올해는 개당 가격이 1만 1,000원으로 올라 소득이 숫자상으론 늘었음에도 역시 1,000개밖에 못 사는 상황이 생긴다. 실제로 소득이 늘지 않은 셈인데, 이 때 실제 소득 상승률이 0%라 할 때의 개념이 실질성장률(real growth rate)이다. 정리하자면 경상성장률은 가격, 실질성장률은 물건의 갯수로 판단하는 셈이다. 국내총생산(GDP)의 경상성장률에서 물가상승률을 빼면 실질성장률이 나온다.
GDP 디플레이터는 국민경제의 물가 수준을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물가지수다. 다만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소비자들이 최종적으로 구입하는 일부 품목의 물가 수준만을 보여주는 것과 달리, GDP 디플레이터는 소비 투자 순수출 등 성장률 계산에 들어가는 모든 물가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
GDP 디플레이터는 명목 GDP에서 실질 GDP를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값으로 구해진다. 통상 GDP 디플레이터와 CPI는 비슷하게 움직이고 보통은 CPI 상승률이 GDP 디플레이터보다 높다. 그런데 올해부터는 저유가로 인해 GDP 디플레이터가 더 높은 역전현상이 발생했다. 석유나 원자재의 가격이 하락하면 GDP 디플레이터가 더 오르기 때문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