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파리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에서 12일(현지시간) 역사적인 '파리 기후협정'이 최종 타결됐다.
파리 협약문은 2020년 이후부터 교토의정서를 대체하면서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대응을 규율하는 구속력 있는 법전 역할을 하게 된다.
57개 환경, 여성, 종교, 시민사회단체들로 구성된 기후변화 대응 네트워크인 '기후행동2015'는 파리 협약의 타결을 환영하면서 다음과 같이 입장을 밝혔다.
첫째, 파리 협약은 전문(前文)에 인권, 건강권, 원주민과 난민 등의 권리, 성 평등, 세대 간 형평성을 고려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또, 기후변화에 취약한 국가들이 요구해왔던 지구평균기온 1.5℃ 상승 억제가 국제사회의 최종 목표임을 명시하고 있다. 이는 기후변화의 파급력과 현실에 대한 진전된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써 높이 평가할 만하다.
둘째, 파리 협약은 각국이 '자발적 기여(INDCs)' 형태로 제출한 감축목표와 국제사회가 합의한 감축경로 사이에 큰 격차가 있음을 지적하고, 2018년 당사국 간 대화를 통해 장기감축목표의 실현 방안을 모색하도록 했다. 또, "금세기 후반에 인위적인 온실가스 배출과 흡수 사이에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는 '자발적 기여(INDCs)'에 기초하고 있는 협상의 한계 속에서도 '탈(脫)탄소 경제'로의 전환을 서둘러야 한다는 명확한 신호를 보낸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파리 협약은 최근 몇 년간 기후변화협상에서 가장 큰 쟁점이었던 '손실과 피해(Loss and Damage)' 메커니즘을 협약문에 포함하고 2025년까지 연간 1000억 달러 이상을 개발도상국들에 제공하는 새로운 재정지원 목표를 설정하도록 명시했다. 이는 '인도주의의 승리'이자 동시에 선진국과 개도국 간의 '신뢰' 형성의 기반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넷째, 파리 협약의 타결로 세계는 화석연료 0%, 재생에너지 100% 시대로 진입하게 되었다. 이는 탄소경제에 의존해왔던 성장지상주의의 전면 수정과 법·제도, 정부구조, 기업경영, 생활양식의 변화가 불가피하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현재의 시스템으로는 신기후체제의 높은 파고를 결코 넘을 수 없다는 것이 우리들의 인식이다.
다섯째, 최근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대응 노력은 세계 최하위권(58개국 중 54위)인 것으로 평가됐다. 기후불량국가의 오명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모든 사회구성원들의 지혜와 역량 결집이 필요하다. 이러한 인식 속에서 정부, 경제계, 종교계와 시민사회의 각계각층이 참여하는 새로운 기후체제 준비를 위한 사회적 대화기구' 구성을 제안한다. 범국민적인 대화기구에서는 새로운 시대에 걸맞은 국가, 사회, 경제 운영 방안이 논의될 수 있을 것이다.
김서연 기자 brainysy@sporbiz.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