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한계기업 구조조정, 날 잔뜩 벼린 '메스'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한계기업 구조조정, 날 잔뜩 벼린 '메스'

입력
2015.11.11 18:44
0 0

부실 징후 중소기업 175곳

구조조정 대상 작년보다 40% 늘어… 금융위기 이후 최대 규모

부실 대기업 살생부도 연말 윤곽… 대대적 한파에 금융권도 긴장

최경환(가운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0일 '해외건설·조선업 부실방지를 위한 관계기관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최경환(가운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0일 '해외건설·조선업 부실방지를 위한 관계기관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정부가 강조해 온 한계기업에 대한 선제 구조조정의 막이 올랐다. 금융당국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6년 만에 최대이자, 작년보다 40% 늘어난 구조조정 대상 중소기업을 11일 발표했다. 연말까지 추가적인 대기업 구조조정 대상이 정해지고, 해양ㆍ조선 등 위기산업 차원의 구조조정 방안도 나올 예정이어서 대대적인 구조조정 태풍이 몰아칠 전망이다.

이날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15년 중소기업 신용위험평가 결과’에 따르면 올해 구조조정 대상(C, D등급)으로 선정된 중소기업은 총 175곳으로, 작년(125곳)보다 40%(50곳)나 급증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한 해 3차례나 신용위험평가를 통해 한계기업을 정리했던 2009년(512곳) 이후 가장 큰 규모다.

금융당국이 채권은행들의 자료를 취합해 매년 한차례씩 실시하는 신용위험평가는 A, B, C, D 네 등급으로 나뉜다. A와 B등급은 정상으로 분류되지만 부실징후 기업은 C, D등급, 즉 구조조정 대상이 된다. C등급은 채권은행의 지원을 받아 경영정상화가 추진되는 워크아웃 대상이고, D등급이 은행 지원 없이 자체정상화나 법정관리를 신청해야 하는 사실상 퇴출 대상이다.

올해 C, D등급이 크게 늘어난 것은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른 전반적 경영실적 악화에 ‘선제적 수술이 필요하다’는 당국의 의지가 더해진 결과다. 실제 금감원은 통상 최근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연간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하지 못한 기업)인 곳을 세부평가해왔으나 올해는 12개 취약업종의 경우, 이 기준을 ‘최근 2년 연속’으로 넓혀 작년보다 20%(325곳) 늘어난 1,934개를 세부평가 대상으로 삼았다. 그 결과, C등급(70곳)은 작년(54곳)보다 30%, D등급(105곳)은 무려 48%(34곳)나 급증했다. 특히 구조조정 대상의 60%(105곳)를 제조업체가 차지, 최근 세계경기 악화와 수출부진 여파를 반영했다. 이는 지난해 국내 제조업 매출액이 1961년 이후 처음으로 감소했고, 한계기업 숫자가 2009년 전체의 12.8%(2,698개)에서 작년 15.2%(3,295개)로 급증했다는 한국은행 분석 결과와도 맥을 같이 한다.

업종별로는 전자부품(5곳), 기계 및 장비(5곳), 자동차(6곳), 운수업(5곳) 등 최근 부실우려가 높은 수출 관련 업종에서 구조조정 대상 기업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은행 등 금융권에도 비상이 걸렸다. 올 9월말 현재 금융권이 이들 175개 중소기업에 빌려준 신용공여액은 2조2,204억원. 은행들은 이미 3,020억원을 대손충당금으로 적립했고 추가로 4,504억원을 쌓아야 할 것으로 금감원은 추산했다.

김용식기자 jawohl@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