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국가경쟁력 순위 평가에서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26위에 머물렀다.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최저치다.
세계경제포럼(WEF)은 매년 세계 140국을 대상으로 국가경쟁력 순위를 평가, 발표한다. 우리나라는 노동과 금융 시장의 비효율이 국가경쟁력을 떨어뜨리는 주 요인으로 지적됐다.
세계경제포럼은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둔 민간 회의체다. 전 세계의 저명한 기업인, 경제학자, 정치인 등이 모여 세계 경제 문제를 토론한다. '다보스포럼'이라는 이름으로도 잘 알려져있으며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과 함께 양대 국가경쟁력 평가기관으로 꼽힌다.
우리나라는 2007년 WEF의 국가경쟁력 순위에서 역대 최고인 11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2011년 24위였다가 2012년 19위로 상승한 것을 제외하면 계속 하락세였다. 2013년부터는 25위에서 26위에 머물렀다.
분야별로는 3대 항목 가운데 거시경제·인프라 등이 포함된 '기본요인' 순위가 지난해 20위에서 18위로 올랐으나 평가비중이 50%로 높은 '효율성 증진' 순위는 25위로 변동이 없었다.
'기업혁신' 분야도 22위로 지난해와 같았다.
이를 다시 12개 하위 부문별로 보면 우리나라의 거시경제 환경 순위는 9위에서 7위로 올랐다.
정부 규제의 효율성•정책결정의 투명성 등을 평가하는 제도요인은 82위에서 69위로 비교적 큰 폭으로 상승했다.
그러나 금융시장 성숙도 순위가 80위에서 87위로 떨어졌다.
이밖에 기술수용 적극성(25→27위), 시장 규모(11→13위), 기업 혁신(17→19위) 분야에서도 뒷걸음질쳤다.
노동시장 효율성은 작년보다 세 계단 올랐지만 83위로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특히 노사간 협력은 132위로 세계 최하위권이었다.
고용 및 해고 관행은 115위, 정리해고 비용은 117위, 임금결정의 유연성은 66위에 머물렀다.
정부의 규제개혁 정책에 힘입어 법 체계 효율성 순위는 113위에서 74위로 눈에 띄게 높아졌다.
이 항목은 기업이 불합리한 규제 개선을 정부에 건의했을 때 얼마나 효율적으로 반영되는지 보여주는 지표다.
그러나 정부규제에 따른 부담은 96위에서 97위로 밀려 경제 주체들이 느끼는 규제 강도는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경쟁력 평가의 세부 항목 중 설문평가 항목 80개(70%)는 해당국 기업 최고경영자(CEO) 100명의 답변내용을 토대로 순위가 매겨진다.
WEF는 한국의 강점으로 거시경제(5위), 시장규모(13위), 인프라(13위)를 꼽았다.
약점으로는 정부 규제 등 제도적 요인(69위), 노동시장 효율성(83위), 금융시장 성숙도(87위)를 지적했다.
올해 평가에서 국가경쟁력 순위가 가장 높은 나라는 스위스(1위)다.
싱가포르가 2위, 미국이 3위에 올랐다.
독일은 한 계단 올라 4위를 차지했고, 네덜란드는 3계단 올라 5위에 랭크됐다.
일본과 중국의 순위는 각각 6위, 28위로 작년과 같았다.
김재웅 기자 jukoas@sporbiz.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