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중심의 구조조정을 위해 설립되는 기업구조조정 전문회사가 오는 11월 출범한다. 구조조정, 유동성 지원, 자구계획 지원 등 세 종류의 사모펀드(PEF) 방식으로 운영되며 자본금 1조원과 대출금 2조원 등 운영자금으로 3조원을 확보할 예정이다.
기업구조조정전문회사 설립준비위원회는 11일 서울 예금보험공사 본사 강당에서 공청회를 열고 이 같은 계획을 공개했다.
기업구조조정전문회사는 금융위원회가 채권단 중심의 구조조정 방안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설립을 추진해왔다. 기업구조조정이 정부 주도로 진행될 경우 관치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고, 채권단 주도로 이뤄지면 채권회수 극대화에 초점이 맞춰져 기업에 불리하게 진행될 가능성이 커진다는 비판이 나왔다.
이에 따라 구조조정전문회사의 구체적인 역할은 채권단 자율협약이나 워크아웃 이전에 선제적인 구조조정을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운영방식은 사모펀드(PEF)를 조성해 은행 등 금융사들의 기업 부실채권을 매입한 뒤 기업의 경영정상화를 통해 기업가치를 높이고, 이에 따른 투자수익을 PEF청산 과정에서 출자 금융기관에 배분하는 식이다.
PEF의 종류는 직접 채권단의 채권을 사들이고 출자전환을 통해 기업의 경영권을 확보해 구조조정을 진행하는 ‘구조조정 펀드’와 일시적 유동성 위기에 빠진 기업을 지원하는 ‘유동성지원펀드’, 기업이 구조조정을 위해 매각하는 비영업용자산을 인수하는 ‘자구계획지원펀드’ 등 세 종류다.
설립 재원은 시중은행들과 자산관리공사(캠코) 등 9개 출자회사가 공동으로 자본금 1조원을 투입하고, 은행들이 대출을 통해 2조원을 추가로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이 같은 시장 주도의 구조조정이 실효를 거둘 수 있을지에 대해선 회의적인 시각도 적지 않다. 특히나 은행들의 지속적인 참여가 이뤄지려면 비즈니스 모델이 이른 시일 내에 자리를 잡을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시중은행의 한 기업여신지원부장은 “리스크 관리를 포함한 전문인력을 확보하는 것부터 정관계의 외압을 차단하기 위한 제도 마련 등 정비해야 할 부분들이 아직 많다”며 “이른 시일 내에 자리를 잡기 위해 성공 사례를 조속히 만들어내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환구기자 redsun@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