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정부의 핵심프로젝트인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가 10개월만에 만에 모두 문을 열었다. 각 센터는 창업ㆍ중소기업 지원 등을 통해 대한민국 신성장동력의 중추로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창조경제의 허브가 될 센터에 거는 기대가 크다.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따르면 전국의 각 센터를 지원하는 대기업들은 2017년까지 신성장동력 분야에 136조원을 투자한다. 센터가 한 개씩 출범하는 과정에서 성과도 있었다.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현재까지 전국 센터를 통해 총 375개 창업ㆍ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이 이뤄졌다. 약 300억원 규모의 투자유치와 함께 상품 개발과 판로확보, 해외시장 진출 등 대기업이 지역 기업을 지원하는 사례도 늘었다.
● 현정권 '반짝 사업' 그쳐선 안돼
센터가 모두 개소한 것은 시작에 불과하다. 지속적인 성과를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도 많다.
우선 태생적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대기업 의존에서 벗어나 자생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각 센터는 정부가 대기업의 등을 떠밀어 만들어진 모양새다. 대기업이 정부로부터 각각의 지역을 할당 받고, 해당 지역의 벤처ㆍ중소기업을 돕는 민관 협력 구조다. 이런 구조에서는 센터의 활성화가 대기업의 의지에 달렸다. 센터 개소에 참여한 한 대기업 임원은 "정권이 바뀌면 대기업의 태도가 달라질 수 있다. 게다가 어쩔 수 없는 사정으로 대기업이 지원을 중단할 경우 센터의 기능은 떨어질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정권 교체 후에도 대기업이 적극적으로 나설 지는 미지수라는 말이다.
이 경우 야심차게 출범한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정권의 전시물로 전락할 우려가 크다. 과거에도 이런 사례는 많았다. 노무현ㆍ이명박 정부시절 경제자유구역ㆍ혁신도시ㆍ기업도시ㆍ녹색성장ㆍ4대강 사업 등 정권의 핵심사업들이 정권 교체 후 '반짝사업'으로 끝났다. "센터를 현 정부의 작품이 아닌 국가적인 과제로 인식하고 이끌어 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는 이유다.
● 기존 제도와 교통정리…실패 재기도 도와야
각 지자체의 비슷한 기능을 가진 벤처ㆍ중소기업 시설과 지원 업무에 대한 교통정리도 필요하다. 이는 최근 전경련이 각 센터장들과 연 간담회에서도 지적됐다. "혁신클러스터ㆍ창업보육센터ㆍ테크노파크ㆍ연구개발특구 등 지자체마다 우후죽순 들어선 창업 지원기관이 난립하는 상황에서 이들과 확실하게 구분되는 차별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것이다.
낮은 인지도를 끌어올리는 것도 관건이다. 또 창업지원뿐만 아니라 실패한 창업자의 재기를 돕는 기능도 소홀히 하지 말아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센터는 예비창업자나 벤처기업 등이 가장 절실 할 때 가장 먼저 떠올릴 수 있는 곳이어야 한다. 미래창조과학부도 이를 염두에 두고 "보다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도움이 필요한 이들이 적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김성환 기자 spam001@sporbiz.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