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증시가 연일 폭락을 거듭하고 있다. 상하이 종합지수가 8일에는 장중 8.02%가 폭락하면서 3429.25까지 떨어졌다. 지난 6월12일 연중 최고치(5166.35)를 기록한 이후 한 달이 채 안돼 30%이상 급락한 것이다. 증시 폭락으로 7일 현재 시가총액 3조2,500억달러가 증발했다. 이는 프랑스 증시 전체와 맞먹는 규모다. 폭락 장세가 이어지자 중국의 상장사들이 무더기로 거래정지를 신청하는 사상 초유의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 상하이와 선전 증시에 상장된 2,800여개 기업 중 절반이 넘는 1,400여개 기업이 자발적으로 거래정지를 신청했다. 폭락 장세에 대피하는 차원이다.
상하이 증시는 지난해 7월 이후 1년간 150%이상 급등하는 등 이상과열 현상을 보였다. 실물경제가 부진해도 개미 투자자들은 ‘묻지마 투자’에 매달렸다. 주부와 일용직 노동자들까지 증시에 뛰어든 것이다. 중국 정부는 금리를 낮추고 신용규제를 완화하면서 막대한 자금을 증시에 투입하는 등의 증시부양책을 잇달아 내놓고 있으나 약발이 전혀 먹히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세계 경제에 중국 발 경제위기가 오는 것 아니냐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경제성장률 전망도 어둡다. 이미 지난해 7%를 간신히 넘는 사상 최저수준의 성장률을 보였고 올해는 6%대로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유럽에서 급거 귀국한 리커창
중국 총리가 “리스크에 대응할 능력이 있다”고 강조했지만 시장의 반응은 냉랭하다. 중국 증시는 천천히 가라앉거나 폭락하거나 둘 중의 하나일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올해 1~4월 기간 중 우리나라의 중국에 대한 수출 비중은 25.5%로 미국(13.2%)의 두 배 가까이 된다. 올해 1분기 한국의 대중국 투자액은 16억2000만 달러로 일본, 싱가포르, 대만 등을 앞지르고 있다. 우리 경제에 ‘중국 리스크’가 그만큼 커졌다. 수출과 내수가 부진한데다 메르스 여파가 가시지 않은 상황에서 그리스디폴트와 중국의 거품붕괴는 우리 경제에 치명상을 줄 수 있다. 불똥이 튀지 않도록 금융에 대한 안전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실물경제를 조속히 회복시키기 위해 정부와 기업 등 시장참여자들이 총력전을 벌여야 한다. 정치권도 싸움질만 할 것이 아니라 국회 정상화를 통해 메르스 추경안과 경제관련 법안 처리 등 가능한 모든 법적 지원을 서둘러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