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금리를 올리더라도 국내에 들어온 해외자본 유출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8일 ‘글로벌 금융 경기 변동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란 제목의보고서에서 “과거 미국이 금리 인상을 단행했을 때 해외투자자들이 한국 주식 보유는 줄였지만, 채권 보유는 늘려 실제 해외자본 유출은 크지 않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같은 결론은 1993년부터 2013년까지 22개국을 대상으로 주식과 채권자본 흐름 등을 분석한 결과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 기간 미국의 단기금리가 상승하면 한국의 주식자본은 순유출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채권자본은 순유입이 점차 증가해 실제 해외채권자본 유출 압력은 크지 않았다.
이에 따라 올 하반기에 미국이 금리를 올리더라도 해외채권자본 유출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게 한경연의 관측이다. 김성훈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한국의 통화당국이 미국의 금리변동보다는 국내 경기변화에 초점을 둔 금리정책을 펼칠 여력이 충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또 국제유가가 상승하면 비산유국이 산유국보다 혜택을 누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국제유가가 상승하면 미국과 호주, 캐나다,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등 지하자원이 풍부한 국가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충격 초기 2∼3년간은 원래 성장 추세보다 낮아지는 등 부정적인 영향을 받았다.
반면 한국과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터키 등 비산유국의 실질 GDP는 원래 성장 경로를 웃도는 혜택을 입었다. 이는 국제유가가 상승하면 산유국이 더 큰 이득을 얻을 것이라는 기존 상식과는 상반되는 결과다.
김 부연구위원은 “유가가 상승하면 가전제품이나 자동차 등 에너지 사용량이 높은 기존 제품에 대한 교체 수요가 높아질 수 있다”며 “이는 에너지 효율적인 신제품 개발을 위한 생산과 투자를 자극해 단기적으로 내수와 수출을 확대시키고 중장기적으로 산업 전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원인을 분석했다.
이훈성기자 hs0213@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