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가을이면 달라진 기후변화협약 체제의 규칙에 따라 우리도 기후변화 대응 국가전략으로서 온실가스 감축계획을 보고해야 한다. 이전 교토체제 하에서 한국은 의무감축국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새로운 기후체제는 온실가스 배출량 세계 7위, 온실가스 배출 증가 속도 세계 1위인 우리나라에 감축 계획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혹자는 감축계획을 꼭 지켜야 하는 거냐고 물을지도 모르지만 대답은 분명하다. 우리는 국제화 시대에 살고 있고 전세계에서 수출의존도가 가장 높은 나라 중 하나다. 국제의무를 준수하지 않으면 우리 상품, 국가도 외면 받을 것이다.
우리가 선언해 국제사회가 받아들인 온실가스 감축량은 2020년 예상 배출량 대비 30%다. 현재 배출량의 3분의 1 정도이다. 지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에너지양을 그만한 수준으로 줄여야 한다는 말이다. 뼈를 깎는 각오가 없으면 달성하기 쉽지 않은 수치다. 하지만 우리의 온실가스 감축전략을 보면 너무 경직되고 편향됐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적응을 통한 유연한 감축전략은 찾아볼 수 없고 오직 공학기술에만 매달리는 형국이다. 이와는 다른 방식으로 가능한 기후변화 적응 및 온실가스 배출 저감 대책 몇 가지를 제안해보고 싶다.
복개된 하천을 복원하였더니 주변 온도가 의미 있게 낮아졌고 식물을 비롯한 야생의 생물들이 이에 반응하고 있다. 그 곳을 찾는 사람들의 호응도 좋다. 건물 지붕에 어울리는 식물을 도입해 숲을 조성하니 지붕의 표면온도가 크게 낮아졌고 이를 통해 냉방비용을 절약하였다는 보고도 있다.
좀 더 넓게 보자. 우리나라에는 인위적으로 조성된 숲이 산림면적의 대략 20% 가량 되며 대체로 주거지 주변 저지대에 위치한다. 이러한 인공 숲은 조림지와 조경을 목적으로 창조된 숲으로 대별된다. 조림지가 발휘하는 이산화탄소 흡수 능력을 평가했더니 연간 ㏊당 14톤 정도였다. 그러나 도시공원, 아파트 정원 등 조경 목적으로 조성된 숲들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지 못하고 오히려 발생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 인공 숲과 비슷한 장소에 위치해 사람의 손길에 자주 노출되지만 한시적으로라도 자연으로 돌아갈 기회를 얻는 상수리나무 숲을 대상으로 이산화탄소 흡수기능을 평가했더니 연간 ㏊당 24톤 정도를 흡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은 드물지만 예전에는 하천변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버드나무 숲은 이보다 두세 배 가량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우리나라에서 산림이 차지하는 면적은 약 6만4,000㎢이고, 그 중 20% 가량을 조림지가 차지하고 있다. 이를 모두 상수리나무 숲이라고 가정해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평가해보면 1,800만톤 가량 된다. 우리나라 하천은 총 길이가 3만㎞ 남짓이다. 이 하천들은 그 주변이 농경지로 활용돼 폭이 크게 좁아졌고, 주변 농경지에 자라는 작물의 생육에 지장을 준다고 강변 식생을 제거해 대부분이 사라진 상태다. 근래 수년 동안 환경부는 건전한 하천을 되찾을 목적으로 수변구역 땅을 매입하여 수변생태벨트를 조성하고 있다. 이들 식생벨트를 하천의 양안에 20m 폭으로 조성하고, 그 하천변에 버드나무 숲을 조성한다고 가정해 이산화탄소 흡수기능을 평가해보니 약 800만톤이 나온다. 이 두 가지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합치면 우리가 감축해야 할 온실가스 배출량의 10% 정도가 된다.
그 밖에도 이산화탄소 흡수 효과가 좋은 숲을 조성할 공간은 많다. 방치된 폐경지, 건물의 지붕과 벽면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를 통해 흡수ㆍ제거하는 이산화탄소량을 감축대상으로 인정받으면 기업의 부담을 크게 줄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이산화탄소 직접 흡수 외에도 생태적으로 다양한 효과를 내며 에너지 사용량을 줄여준다. 이 또한 이산화탄소 감축에 보탬이 된다. 이처럼 다양한 온실가스 감축 전략으로 새 기후변화체제에 능등적으로 대처하기를 기대해본다.
이창석 서울여대 교수ㆍ한국생태학회장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