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수출기업 4곳 중 1곳은 인력난을 겪고 있으며, 대기업 보다는 중소기업의 인력난이 더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과 구직자간 미스매치가 주요 원인이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수출실적 50만 달러 이상(2013년)인 국내 수출기업 697개사(대기업 90, 중기 607)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해 20일 공개한 ‘2015년 상반기 수출기업 인력수급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164개사(23.5%)가 인력이 부족하다고 응답했다. 특히, 중소 수출기업의 인력 부족 응답 비중이 24.2%로 대기업(18.9%)보다 높게 나타났다.
인력난의 주된 원인은 구인기업과 구직자 간 ‘미스매치’인 것으로 파악됐다. 인력 부족 응답 기업 중 가장 많은 31.7%가 ‘사업체가 제시하는 임금, 복지수준이 구직자의 기대와 맞지 않음’을 인력난의 원인으로 꼽았고, ‘지원자 중 기업이 요구하는 직무능력을 갖춘 자가 없음’(14.6%)이 뒤를 이었다. 기업과 구직자가 서로의 기준을 맞추지 못한 게 50%에 육박한 것이다.
직종별로는 연구개발직 인력이 부족한 기업이 32.3%로 가장 많았으며, 기술직(29.7%), 기능직(23.6%), 무역직(20.7%), 국내영업 및 판매직(18.5%), 단순 노무직(16.8%), 일반 사무직(8.8%)이 뒤를 이었다.
산업별로는 석유제품 수출기업 중 66.7%가 인력난을 호소해 가장 높았고, 컴퓨터(40.0%), 반도체(33.3%), 자동차(32.7%)가 뒤를 이었다.
지역별로는 대구ㆍ경북이 32.1%로 가장 높았고, 대전충남(31.3%), 울산(28.3%), 경남(26.9%), 경기(24.7%), 서울(24.5%), 광주전남(23.6%) 순이었고, 강원은 9.1%로 가장 낮았다.
기업들이 활용하는 인력난 해소 방안은 ‘임금임상 및 복지여건 개선’(41.5%)이 가장 많았다. ‘사내교육을 통한 자체 인력 양성’(17.8%)이나 ‘외국인력 활용 확대’(4.2%) 등의 비중은 높지 않았다.
상반기 가장 큰 영향을 미칠 노동시장 이슈로는 ‘통상임금 및 임금체계 개편’(41.3%)이 꼽혔다.
이은미 국제무역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인력난 해소를 위해서는 기업이 생각하는 직종별 인력난 원인과 자체 해소 방안을 고려한 맞춤형 대응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민식기자 bemyself@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