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제16대 대통령 에이브러햄 링컨(1809∼1865)이 암살범의 흉탄에 쓰러져 비극적으로 생을 마감한 지 14일(현지시간)로 150주기를 맞았다.
미 언론은 링컨 전 대통령 암살 사건을 다루고 그의 인생과 업적을 활발하게 조명했다.
남북전쟁을 거쳐 흑인 노예를 해방한 링컨 전 대통령은 1865년 4월 14일 저녁 워싱턴DC의 포드 극장에서 ‘우리의 미국인 사촌’이라는 연극을 관람하던 중 남북전쟁에서 패한 남부연합군의 밀정 노릇을 하던 남부 지역 출신 배우 존 윌크스 부스의 총에 맞았다. 부스는 저격 당시 “독재자에게는 늘 이렇게…”라고 외쳤다. 머리에 총을 맞은 링컨은 다음날인 15일 새벽 끝내 눈을 감았다. 당시 장례식은 2주간 7개 주(州), 180개 도시를 돌며 당시 미국 인구의 3분의1인 1,200만 명의 조문객이 참여하는 미국의 첫 국장으로 진행됐다.
추격을 피해 암살 공모자와 함께 2주 가까이 도피 행각을 벌이던 부스는 그해 4월 26일 버지니아 주의 한 농가에서 자신을 포위한 기병대에 저항하다가 결국 총을 맞고 숨졌다.
역사는 현직 미국 대통령을 대상으로 처음 자행된 링컨 전 대통령의 암살 사건을 19세기 비극으로 기록했다.
링컨 전 대통령의 역사적인 노예해방 선언 덕분에 흑인으로는 미국 역사상 최초로 통수권자에 오른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15일을 링컨 전 대통령 추모일로 공식 선포한다. 링컨 사망 시각인 15일 오전 7시22분에는 워싱턴DC 등지에서 동시에 추모의 종이 울릴 예정이다. 사건 현장인 포드극장은 14, 15일 일반인에 36시간 연속 극장을 개방하고 링컨 전 대통령의 일대기를 다룬다. 또 전문가 토론, 링컨의 발언, 남북 전쟁 시대의 음악회 등 통해 추념 행사도 진행된다. 역사 자료를 전시하는 미시간 주의 헨리 포드 박물관은 암살 당시 링컨 전 대통령이 앉은 포드극장의 의자를 15일 공개한다.
링컨 전 대통령을 저격한 뒤 도망치다가 다리를 다친 부스를 치료한 혐의로 암살 공모자 누명을 썼다가 나중에 사면된 의사 새뮤얼 머드 박사의 고향인 메릴랜드 주 찰스 카운티도 링컨의 암살과 부스의 도피 행적 등을 추적하는 행사를 후원한다.
노예해방과 미국 연방 유지를 위해 남북전쟁을 이끈 링컨 전 대통령은 1863년 게티즈버그에서 272개의 단어로 이뤄진 명연설을 통해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정부’를 만들겠다며 민주주의 이념을 설파했다.
가난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나 미국의 대통령에 오르기까지 그의 신화적인 삶을 다룬 책이 지금껏 1만5,000 권이나 나왔다.
미국 정치학회는 지난 2월 16일 ‘대통령의 날’을 맞아 발표한 역대 대통령 평가 설문조사에서 링컨 전 대통령이 100점 만점의 항목별 조사 결과 평균 95점을 받아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강주형기자 cubi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