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력이 약한 영ㆍ유아가 먹는 이유식 상당수가 안전기준이 상대적으로 느슨한 일반식품으로 유통되고 있어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시중에 유통 중인 이유식 30개 제품의 식품유형을 분석한 결과, 영ㆍ유아용 ‘특수용도식품’이 18개(60%), ‘일반식품’이 12개(40%)였다고 19일 밝혔다. 영ㆍ유아들이 먹는 음식임에도 관련 안전 기준이 덜 엄격한 일반식품으로 분류돼 자칫 아이들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실제 일반식품 위생기준을 특수용도식품과 비교해보면 제한기준이 없거나 상대적으로 느슨하다. 바실러스 세레우스균의 경우 특수용도식품에선 1g당 100마리 이하이지만, 일반식품에선 1,000마리 이하의 규정을 적용 받는다.
또 소비자원에 따르면 일반식품으로 분류된 12개 이유식 전 제품은 해당 식품 유형의 규격기준에는 적합했다. 하지만 영ㆍ유아용 특수용도식품 규격기준을 적용하면 이중 3개 제품이 일반세균과 대장균 기준을 초과해 위생상태가 상대적으로 미흡했다. 특히 1개 제품은 식중독균을 일으키는 바실러스 세레우스균 검출량이 970cfu/g으로 영ㆍ유아용 특수용도식품 규격기준(100cfu/g 이하)을 크게 웃돌았다.
이처럼 상당수 이유식이 일반식품으로 유통되는 이유는 같은 이유식이라도 제조업체가 품목 신고 시 어떤 식품유형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관리기준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이유식 안전성 확보를 위해 일반식품으로 팔리는 제품의 관리를 강화하고, 이유식을 영·유아용 특수용도식품으로만 신고·판매하도록 하는 개선방안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요청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세종=김현수기자 ddacku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