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남학생이 또래 여학생보다 학업 성취도가 낮은 것은 우리나라만이 아닌 전세계적 현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코노미스트는 최신호에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 분석에서 10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기준 이하’ 성적을 받은 비율이 높았다”며 이같이 밝혔다. OECD가 64개국 만 15세 학생(2012년 기준)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읽기, 수학, 과학 등 세 과목 가운데 최소 한 과목에서 기준 이하 성적을 받은 학생은 남학생 61%, 여학생 39%였다. 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전체적으로 ‘1년’가량 진도가 앞선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남학생의 66%가 낙제 과목이 있어 OECD 평균보다 높은 반면 여학생은 34%로 평균보다 낮아 남녀 학생간 성적 격차가 더 벌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목별 총점을 보면, 읽기 부문에서 여학생들이 남학생보다 상당히 앞섰고, 통상 남학생이 강세라고 여겨지던 과학 부문에서도 여학생이 조금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부문에서는 모든 나라에서 남학생들이 여학생들 보다 ‘3개월 진도’ 가량 앞섰다. OECD는 “여학생들이 수학 문제를 푸는데 자신감이 부족하다”며 “성적이 좋은 여학생도 수학에서는 불안해 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분석했다.
남녀 학생간 성적격차 생기는 이유는 역시 학업 시간 때문이다. 여학생은 1주일에 5시간30분 공부를 했지만 남학생은 4시간 30분에 그쳤다. 남학생들은 특히 비디오 게임과 인터넷 서핑에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미 삼아 책을 읽는다”고 대답한 비율은 여학생이 70%를 넘었지만, 남학생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학습 태도에서도 갈렸다. “학교 수업은 시간 낭비”라고 답변한 남학생 수는 여학생의 두 배에 달했다. OECD는 “여학생은 소설과 잡지를, 남학생은 신문과 만화를 좋아한다”며 “이를 고려해 학습 지도를 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대학교에서도 남녀 성비가 역전되고 있다. OECD회원국 기준, 여대생 비율은 1985년 46%였지만 2012년 현재 56%, 2025년에는 58%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특히 최근 늦은 결혼과 출산율 하락으로 여성들은 고등교육의 기회를 더 많이 갖게 됐고 취직도 쉬워졌지만, 반대 급부로 기혼 여성의 경제적 자립 때문에 이혼율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OECD 관계자는 “1960년대 남학생들은 여학생들보다 학교 성적이 훨씬 좋았고 그만큼 고등교육을 받을 가능성도 높았다”며 “하지만 최근에는 저울추가 반대로 기울고 있다”고 말했다.
이로 인해 대기업 경영자, 변호사, 의사, 정ㆍ관계, 금융인 등 현재 남성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는 직종에서도 조만간 여성들의 강세가 점쳐지고 있다. 반대로 교육을 받지 못해 특별한 기술이 없는 남성들은 지금보다 더 큰 위기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졸여성들의 임금은 여전히 남성의 75% 수준에 불과하다고 이코노미스트는 지적했다.
강주형기자 cubi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