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 수 증가 폭 30만명대, 20개월 만에 최저치로 떨어져
체감 실업률은 통계 이래 최고, 일자리 확대 한계 봉착 조짐
지난달 취업자 수 증가 폭이 7개월 만에 30만명대로 떨어졌다. 체감 실업률은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대치인 11.8%까지 치솟았다. 각종 경제지표 중 그나마 외형적으로는 괜찮은 성적을 보여왔던 고용지표마저 꺾이기 시작한 것이다. 경기 회복세 둔화로 정부의 일자리 확대 정책이 한계에 봉착한 것 아니냐는 진단이 나온다.
11일 통계청의 ‘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510만6,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34만7,000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 같은 증가 폭은 2013년 5월(26만5,000명) 이후 20개월 만에 가장 적다. 지난해 1, 2월(각각 70만5,000명, 83만5,000명) 정점에 달했던 취업자 증가 폭은 이후에도 40만~50만명 선을 유지해왔다.
지난 달 취업자 증가폭이 둔화된 데에는 비교 대상인 작년 1월 취업자수가 워낙 많았던 기저효과의 영향이 적지 않다는 게 정부의 설명. 하지만 다른 고용지표들까지 함께 악화했다는 점에서 간단치는 않아 보인다. 1월 고용률(58.7%)은 10개월 만에 가장 낮았고, 실업률(3.8%)도 지난해 4월(3.9%)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실업자 수는 98만8,000명에 달했다. 청년(15~29세) 취업자는 지난달 2만7,000명 느는 데 그쳐 지난해 5월(2만3,000명 증가) 이후 가장 부진했으며, 청년 실업률(9.2%)은 전체 실업률(3.8%)의 세 배에 육박했다. 인구 구조 변화의 영향 등으로 30, 40대는 취업자 수가 오히려 각각 1만7,000명, 2만7,000명 줄었다. 50대(19만1,000명 증가)와 60대 이상(17만4,000명 증가)을 제외하면 나머지 연령대 취업자 수는 오히려 감소(-1만7,000명)했다는 얘기다.
특히 잠재 취업 가능자, 잠재 구직자 등을 포함한 체감 실업률(고용보조지표3)은 지난해 5월 첫 통계 발표 이래 최고치인 11.9%까지 치솟았다. 100명중 12명은 일하고 싶은 의사가 있는데도 일자리를 구하지 못했다는 의미다. 이에 대해 이찬우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은 “올해는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으로 경제활동인구가 늘어났고, 이들 중 일부가 직업을 얻지 못한 것이 실업률을 상승시킨 측면이 있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일자리 확대 정책이 한계에 봉착하면서 고용 지표 악화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한다. 지난해 취업자 수가 반짝 늘어난 것은 정부가 시간제일자리나 여성ㆍ청년 일자리 확대에 적극 나서면서 생긴 공급 측 요인에 따른 것인데, 경기 회복세 둔화로 민간 일자리 창출(수요 측 요인)이 여전히 지지부진해 공급 측 요인이 동력을 잃었다는 것이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올해 월 평균 취업자 수 증가 폭이 지난해보다 20만명 가량 적은 30만명 내외에 그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유경준 KDI 재정ㆍ복지정책연구부장은 “작년엔 공급 측 요인으로 고용률 증가가 이뤄졌지만, 경제성장률이 올해 3.5%대에 머물면서 수요 측 요인이 뒷받침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며 “작년만큼의 고용 증가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이성택기자 highnoo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